[100세건강] 짜증 늘고 두통 호소하는 우리 남편, 명절증후군?

천선휴 기자 2024. 2. 11.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남편은 벌써 일주일 전부터 명절증후군에 빠졌어. 머리 아프다고 두통약도 계속 먹고 있다니까? 짜증도 얼마나 심해졌는데근데 신기한 게 명절 한 이틀 지나면 사람이 멀쩡해져."

이 명절증후군은 연휴 일주일 정도 전부터 증상들이 생기기 시작해 명절 전후 2~3일 동안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특유 문화 관련 증후군…팔다리 쑤신다거나 호흡곤란 호소도
명절 지나면 대부분 사라져…2주 이상 이어지면 반드시 병원 가야
ⓒ News1 DB

(서울=뉴스1) 천선휴 기자 = "우리 남편은 벌써 일주일 전부터 명절증후군에 빠졌어. 머리 아프다고 두통약도 계속 먹고 있다니까? 짜증도 얼마나 심해졌는데…근데 신기한 게 명절 한 이틀 지나면 사람이 멀쩡해져."

올해도 어김없이 '민족 대 명절' 설이 찾아왔다. 누군가는 그동안 자주 보지 못했던 가족과 친지들을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명절이 오기만을 기다리지만, 누군가에게는 생각만으로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픈 피하고 싶은 날일 수 있다.

명절만 되면 두통, 짜증, 소화장애 등 갖가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른바 스트레스성 질환인 명절증후군이다.

언제부터인가 생긴 명절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실제로 정신의학적으로도 설명이 가능한 스트레스성 질환이다.

조서은 가천대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정신의학적으로 명절증후군을 보면 명절이라는 하나의 사건에 불편함을 느끼고 부적응 상태를 보이는 것"이라며 "핵가족화된 요즘의 가정에서 명절에만 갑자기 공동가족군으로 합쳐지면서 일어나는 육체적, 심리적 고통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관습과 현대적인 생활이 공존하는 우리나라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한국 특유의 문화 관련 증후군"이라고 말했다.

이 명절증후군은 연휴 일주일 정도 전부터 증상들이 생기기 시작해 명절 전후 2~3일 동안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인다.

강승걸 가천대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짜증이 난다거나 답답하다, 머리가 아프다, 팔다리가 쑤시고 아프다, 심란하고 우울하다는 등의 갖가지 증상을 호소하고 현기증이 있다거나 심한 경우 숨도 잘 안 쉬어진다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명절증후군은 보통 명절이 지나고 나면 거짓말처럼 증상이 사라진다. 명절이라는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 지나가게 되면서 증상 또한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것이다.

ⓒ News1 DB

그러나 명절이 지난 후에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돼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조서은 교수는 "명절 후에도 후유증이 2주 이상 이어진다면 적응장애나 우울증, 신체형장애 등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주부들의 경우 명절증후군이 주부우울증으로 진행될 때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만성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명절증후군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분명하다. 많은 식구들이 한자리에 모이면서 발생하는 과도한 일거리, 번잡함, 고부갈등, 남녀불평등 등 갈등거리는 차고 넘친다. 심지어 명절 대목에 치솟는 물가, 교통체증 등은 이 명절증후군에 불을 붙인다.

강승걸 교수는 "명절증후군은 가족들의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상호 배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가족간 대화는 서로 마음을 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 평상시 교류가 없던 가족들이 모여 대화가 시작되면 기분 나쁜 언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강 교수는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일수록 서로 상대의 입장을 살펴 예의를 지키고 취업, 결혼, 출산과 같이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주제는 가급적 삼가야 한다"며 "서로 편안한 주제의 대화를 나누고 전체 구성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오락시간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sssunhu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