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근로소득세 비중, 세수 펑크에도 10년 내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직장인 근로소득세 비중이 경기 악화와 부동산 침체 등에 따른 세수 부족 기조에도 최근 10년 새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인 근로소득세가 총국세(344조10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14.5%) 대비 2.7%포인트 늘어난 17.2%를 기록했다.
근로소득세는 지난해 59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7000억원(3.0%)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국세 중 17.2% 비중
근로소득세 수입 증가율은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지난해 직장인 근로소득세 비중이 경기 악화와 부동산 침체 등에 따른 세수 부족 기조에도 최근 10년 새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인 근로소득세가 총국세(344조10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14.5%) 대비 2.7%포인트 늘어난 17.2%를 기록했다. 이는 2013년 가장 높은 비중이다.
근로소득세는 지난해 59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7000억원(3.0%) 늘었다. 법인세(-23조2000억원), 양도소득세(-14조7000억원), 부가가치세(-7조9000억원), 교통에너지환경세(-3000억원) 등 수입이 전년보다 감소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근로소득세 수입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13년 22조원이던 근로소득세는 2016년 31조원, 2020년 40조9000억원 등으로 늘었다.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명목 임금이 상승하면서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최근 10년간 근로소득세 증가율은 168.8%로 같은 기간 총국세 증가율인 70.4%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2841만6000명에서 전년보다 32만7000명 늘어난 2873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상대적으로 안정적 지위로 분류되는 상용근로자 수는 1569만2000명에서 1617만명으로 늘었다.
다만 근로소득세 수입 증가율은 2019년(1.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는 소득세 하위 과표구간을 조정하고 근로장려금(ETC)을 확대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2kun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政談<상>] 尹, 신년 대담 극과 극 평가…"답정너 질문과 답변"
- [르포]"사과 하나 7천원에 차례상도 생략"…시장 설 대목은 '옛말'
- [주간政談<하>] 번데기·호떡·어묵 먹은 한동훈…생닭은 왜?
- 미노이, 눈물 라방은 죄책감 때문?→강경준, 소송 합의하나[TF업앤다운(하)]
- [알쏭달쏭 유통] 차례상 올리는 '청주', 한국식·일본식 따로 있었네
- [아하!] 우리나라는 왜 '새해'를 두 번 챙길까? (영상)
- [포토기획] 서울도 예외없다…저출생에 늘어나는 도심 폐교
- 설날 외로운 이웃 없도록…고독사 막는 '우리동네돌봄단'
- 명절엔 '해외 증시'…증권사별 서학개미 투자 독려 상품은?
- FSC와 엇갈린 LCC 실적…업계 재편 속 'LCC 전성시대' 열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