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이즈 하드』 키어런 세티야 “삶은 고통의 바다⋯먼저 고난의 현실을 인정하라” [김용출의 한권의책]

김용출 2024. 2. 9. 0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잉글랜드 북동부 산업도시 헐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젊은 시절 철학을 비롯해 형이상학의 추상적 이론을 좋아했다.

그에게 철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난해한 문제를 분석하고 추론하는 법을 배워서 논쟁의 달인이 되는 일이었다.

그러면서 인간은 거짓된 삶을 살면서도 얼마든지 행복할 수 있다며 일종의 기분 또는 주관적인 감정인 행복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요컨대, 책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여러 고난에 대한 철학적 위로를 줄지도.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잉글랜드 북동부 산업도시 헐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젊은 시절 철학을 비롯해 형이상학의 추상적 이론을 좋아했다. 그에게 철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난해한 문제를 분석하고 추론하는 법을 배워서 논쟁의 달인이 되는 일이었다. 철학은 삶에서 동떨어진, 일종의 일상으로부터 도피였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삶과 더 긴밀하게 연결되는 철학을 원하게 됐다. 왜냐하면 고통과 고난이 그의 삶은 물론 그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 속에 바짝 다가왔기 때문이다. 특히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삶의 시련이 어느 때보다 혹독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삶 속에 있다는 것을 절감했다. 빈부 격차의 심화, 격리와 고독, 만성 통증, 암, 사별⋯.
철학자 데카르트, 소크라테스, 스피노자, 칸트(왼쪽부터). 세계일보 자료사진
“내가 이 글을 쓰던 때에도 수백만의 사람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강제로 고립된 채 외로움과 절망 속에 살고 있었다.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거나 생활고에 시달렸다. 사랑하는 사람이 아프거나 죽어 갔다. 깊은 슬픔이 사회 전반에 감염병처럼 번졌다. 불평등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했고 민주주의는 불안정해졌다. 또 다른 폭풍우가 곧 불어닥칠 것이다.”(21쪽)

철학은 과연 우리 삶에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을까. 미국 MIT 철학과 교수인 저자는 책 『라이프 이즈 하드』(연아람 옮김, 민음사)에서 논거와 사고 실험, 철학적 이론에 기반을 두더라도 삶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철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인간이 직면한 여러 문제에 대한 철학적 해답을 시도한다.

저자는 질병, 외로움, 상실의 고통, 실패, 부조리 등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시련이 있다며, 인간이 살아가면서 시련을 만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에 결코 고난이나 시련에 좌절하거나 주저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삶이 고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고난의 현실을 받아들이는 데에서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역경을 제대로 직시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진실만이 유일한 수단이다. 우리는 우리가 바라는 세상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세상에서 살아야 한다.”(30쪽)

저자는 질병과 외로움, 슬픔, 개인적인 실패와 같은 일상적인 고난부터 불평등이나 부조리와 같은 사회 구조가 야기하는 시련까지 인간이 만나게 되는 다양한 범주의 고통을 차례로 검토하고 철학적 논의를 살핀다. 이를 통해서 육체의 쇠약을 시작으로 사랑과 상실, 사회 구조에 관해 논의한 뒤 ‘나머지 우주 전체’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갖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행복하다’와 ‘잘 산다’는 말이 결코 동의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행복’과 ‘잘 산다는 것’을 구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간은 거짓된 삶을 살면서도 얼마든지 행복할 수 있다며 일종의 기분 또는 주관적인 감정인 행복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랑하는 이가 영원히 홀로 커다란 탱크에 갇혀 가짜의 삶을 살기를 바라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진실은 우리가 행복이 아니라 가능한 한 잘 사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삶은 감정이나 기분이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다.”(29쪽)

저자는 특히 사람들이 삶을 하나의 서사로 보는 관점에서 단순하게 실패와 성공의 순간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며, 이러한 사회 풍조에 단호히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어떤 삶을 실패 또는 성공이라 부르는 건 모든 인생에 담긴 무한한 정교함과 무궁무진한 다양성을 놓치는 것이다⋯ 삶은 성공하거나 실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은 그냥 사는 것이다.”(204쪽)
그러면서 인생에는 엄청나게 많은 사건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수록 우리의 삶이 아주 작고 다양한 성공과 실패로 이뤄졌음을 깨달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를 통해서 비로소 스스로를 ‘승리자’ 혹은 ‘패배자’로 규정짓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삶은 성패의 문제가 됐고 점점 더 그렇게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행복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을 추구해야 하며, 결과와 과정 둘 다 중요하다.”(235쪽)

복잡한 현대, 고된 인생. 요컨대, 책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여러 고난에 대한 철학적 위로를 줄지도. 특히 지금 현재 삶의 비를, 아니 폭우나 홍수를 맞고 있는 이들에겐 더욱. “철학에 위안이 있다면, 그것은 슬픔을 없애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올바르게 슬퍼하는 방법을 안다는 데 있을 것이다. 상실의 슬픔에는 이유가 있다⋯목표는 슬픔을 없애는 게 아니라 잘 슬퍼하는 것이다.”(151쪽)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사진=세계일보 자료사진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