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서 옷 팔던 사람들은 어떻게 10만명 공동체를 이루었을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베이징에는 저장촌(浙江村)이 있다.
1980년대 후반 중국 저장성의 원저우 등 농촌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집단 거주지다.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 저장촌 사람들은 주로 번화가의 노점에서 옷을 판매했다.
첫 번째 부분에서 저자는 저장촌이 어떤 조건들에 의해 출현했는지, 나아가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관계는 어떻게 서로 중첩돼 하나의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게 됐는지 밝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베이징에는 저장촌(浙江村)이 있다. 1980년대 후반 중국 저장성의 원저우 등 농촌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집단 거주지다. 초창기 6가구에 불과했던 저장촌은 10년이 채 지나지 않아 10만명이 거주하는 대형 공동체로 성장했다. 가족 공방과 소규모 무역에 의존하던 저장촌은 이제 중국 동북부 전역에 중저가 의류를 공급하는 중심지가 됐다. 저장촌이 이런 발전을 일군 동력은 뭘까.
새 책 ‘경계를 넘는 공동체’는 원저우 출신 농민들의 동향촌이 1990년대 베이징에서 가장 큰 저가 의류 생산·판매 기지로 변모하는 과정을 돌아본 문화기술지다.
평범한 사람들이 어떻게 주변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켰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2000년 중국어판으로 처음 출간된 후 중국의 국가와 사회, 중앙과 지방, 도시와 농촌, 통치와 저항의 역동적 관계를 살피는 고전이 됐다.
책을 관통하는 실마리는 의류 산업이다.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 저장촌 사람들은 주로 번화가의 노점에서 옷을 판매했다. 당시에는 불법이었다. 그러자 ‘주변’이 점차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그들은 옷을 팔기 쉬운 곳을 알아야 했고, 꼭꼭 숨은 공중화장실이 어디에 있는지 기억해야 했으며, 무엇보다 경찰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야 했다. 그들은 차츰 동네에 있는 국영상점 직원들과 친해지고 심지어 친구가 됐다. 이를 통해 나중에 이 상점들과 협력하고 나아가 상점의 매대를 임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에서 저자는 저장촌이 어떤 조건들에 의해 출현했는지, 나아가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관계는 어떻게 서로 중첩돼 하나의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게 됐는지 밝힌다. 두 번째에선 저장촌 경제활동의 압축판이라 할 ‘저우가’(周家)의 하루를 설명한다. 저우가 구성원의 일상생활, 가족 구성원 관계의 변화가 주요 내용이다. 세 번째에선 시기별 개인의 연보를 중심으로 저장촌의 발생과 변화의 연결성 등을 비춰 본다. 네 번째로는 관계와 관계의 중요성, 즉 서로 다른 관계들이 어떻게 결합했는지 살피는 ‘관계총’(서로 다른 관계의 조합) 개념을 제안한다.
손원천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단주’ 홍준표 “클린스만 해임하고 위약금은 정몽규가”
- 8년 만의 드라마 출연인데…보아, 외모 지적에 ‘일침’ 가했다
- “베트남 간 남편 불륜 잡으러 간다”…식당 휴무 공지글 ‘화제’
- ‘시술’ 고민하는 44세 이효리 “화장할수록 늙어 보여”
- 여성들 잇달아 무차별 폭행하곤…“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는 男
- “죄를 지었다” 미노이, 눈물 라방…‘진짜’ 이유 있었다
- 가수♥개그우먼 ‘공개열애’ 220일 만에…결국 이별했다
- “시원하게 사형 집행 내려달라”…재판부 조롱한 살인범 최후
- “유튜브 참여 몫 달라”…구혜선, 손배소 2심도 ‘패소’
- 말기암 환자 연기한 ‘37㎏’ 박민영, 암 센터에 1억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