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회장 후보에 장인화 전 사장…“조직문화 개선 기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포스코그룹의 차기 회장 후보로 장인화(69) 전 포스코 사장이 선임됐다.
7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된 포스코홀딩스 최고경영자(CEO)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는 8일 장 전 사장을 차기 회장 후보로 확정했다.
후추위는 차기 회장 후보 선임 배경에 대해 "장 후보가 저탄소 시대에 대응하는 철강사업 부문의 글로벌 미래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부문의 본원적 경쟁력을 높이는 작업을 충분히 잘 수행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스코그룹의 차기 회장 후보로 장인화(69) 전 포스코 사장이 선임됐다.
7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된 포스코홀딩스 최고경영자(CEO)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는 8일 장 전 사장을 차기 회장 후보로 확정했다. 이어 포스코홀딩스 이사회는 장 후보를 사내이사 후보로 선정하고,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에 최종 회장 후보로 올리는 안건을 의결했다.
장 후보는 1955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조선공학과를 나와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에서 해양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포스코 연구개발 핵심기관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으로 입사해 강구조연구소장, 포스코 신사업실장, 철강마케팅솔루션실장, 기술연구원장, 철강부문장 등을 역임한 포스코 내 대표 ‘철강맨’이다. 2018년 차기 회장 선출을 앞두고 최정우 현 회장과 ‘최종 2인’으로 경합한 바 있다.
포스코 안팎에서는 장 전 사장이 주력 부문인 철강뿐 아니라 신사업, 재무, 마케팅 분야를 두루 거친 만큼 무난한 인사라는 평가가 많다. 다만 3년 전 경영 일선에서 퇴진한 장 전 사장은 후보들 가운데 가장 고령이어서, 포스코의 세대교체를 이끌 수 있을지 주목된다.
후추위는 차기 회장 후보 선임 배경에 대해 “장 후보가 저탄소 시대에 대응하는 철강사업 부문의 글로벌 미래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부문의 본원적 경쟁력을 높이는 작업을 충분히 잘 수행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후추위는 또 “글로벌 전략 구상과 함께 기술 중심의 혁신을 주도하고 그룹 내부의 조직문화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앞서 후추위는 지난해 12월21일 발표한 ‘신지배구조 개선 방안’에 따라 내·외부 추천 후보 가운데 평판 조회 등을 거친 후보군 22명을 압축해 6명으로 추린 뒤 지난 7일부터 이틀 동안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최종 후보군에서는 장 전 사장을 비롯해 권영수 전 엘지(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 우유철 전 현대제철 부회장,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이 경합했다.
포스코의 차기 회장 후보가 선정되기까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사실상 정부 간섭으로 해석되는 최대주주국민연금공단의 ‘구두 개입’에다 포항지역 시민단체의 ‘호화 이사회’ 고발로 경찰 수사까지 겹치면서 포스코 안팎에선 후추위가 인선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최정우 현 회장이 3연임 도전을 단념했고, 후추위는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면서도 ‘엄정과 공정’을 앞세워 선임 작업을 강행했다.
국민연금이 반대한 최 회장을 후보군에서 제외한 것이나 최종 후보군을 추리면서 내부 출신과 외부 출신 비율을 3대 3으로 맞춘 점, 또 내부의 유력 후보로 분류됐던 김학동·정탁 부회장을 제외한 것 등은 후추위의 ‘완주’ 기반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희재 후추위 위원장(서울대 교수)은 인선 과정에 대해 “투명성과 공정성, 객관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후추위 위원 모두가 뜻을 같이했다”며 “외부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맡은 바 책무를 수행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
장 후보 앞에 놓인 경영 과제는 녹록지 않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기후위기에 따른 탈탄소 전환 등 포스코는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있다. 철강을 넘어 이차전지소재·에너지 등 비철강 부문에서 신성장 동력을 키워내는 것도 당면 과제다. 어수선한 내부 조직을 추스르고 외풍을 막기 위한 제도 개선도 차기 경영진의 몫으로 꼽힌다.
홍대선 선임기자 hongds@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사흘간 편집한 ‘윤석열 다큐’…사과는 없었다 [공덕포차]
- 작년 못 쓴 정부예산 ‘45.7조’ 사상 최대…최악 세수 펑크 탓
- “조선시대도 파산자 위한 ‘판셈’…아프면 병원 가듯, 빚 많으면 법원으로”
- 8살 아이가 스스로 인슐린 주사…보건교사는 돕고 싶어도 못 해
- 한동훈과 사직 [말글살이]
- “한부모 엄마들과 11년 동행…이젠 엄마 행복이 먼저란 생각”
- 고향 가서 ‘가까운 의대’ 입시 준비할까…문과생·직장인 고민
- ‘조그마한 파우치’에 설 민심 매정해질라…국힘 전전긍긍
- “후진국화 막겠다” 조국 정치참여 선언…항소심 유죄 선고 직후
- 대구은행 ‘전국구 전환’ 시동…대통령 ‘주문’에 나쁜 선례 될라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