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과 사직 [말글살이]

한겨레 2024. 2. 8. 14: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판에서 언어학적 토론이 이루어지는 걸 보니 반갑다.

한국의 모 집권당 당수가 '사직에서 야구를 봤다'고 했지, '사직구장에서 야구를 봤다'고 말한 바 없어 이를 바로잡고자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청구했다더라('허위보도로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보았다'던데, 하루속히 쾌차하시길). 말인즉슨 틀린 거 하나 없이 다 맞는 말이다.

'용산이 또 사고를 쳤다'는 말은 2년 전만 해도 뭘 뜻하는지 헷갈렸을 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롯데 응원’ 의혹이 제기되자, 지난달 12일 국민의힘이 공개한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부산 사직구장 응원 사진. 그러나 ‘문재인 정부에서 좌천 당했다’는 2020년 부산고검 시절이 아닌, 2008년 부산지검 근무 당시 모습이다. 국민의힘 제공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정치판에서 언어학적 토론이 이루어지는 걸 보니 반갑다. 하도 기발하여 이 얘기를 모르는 사람이 드물다. 한국의 모 집권당 당수가 ‘사직에서 야구를 봤다’고 했지, ‘사직구장에서 야구를 봤다’고 말한 바 없어 이를 바로잡고자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청구했다더라(‘허위보도로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보았다’던데, 하루속히 쾌차하시길). 말인즉슨 틀린 거 하나 없이 다 맞는 말이다. 그의 송사는 말이 세계와 똑떨어지게 들어맞는 게 아님을 일깨워준다는 점에서 공익성도 있다. 익숙한 걸 낯설게 보려는 예술가의 냄새마저 풍긴다.

말은 부분이 전체를 나타내기도 하고 전체가 부분을 대신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를 뭉뚱그려 환유라고 한다. 그는 환유로 가득 찬 말의 세계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게 분명하다. ‘강아지가 할머니를 물었다’고 하면 ‘엄밀성’이 떨어지니, ‘강아지의 위아래 앞니와 송곳니가 할머니의 왼쪽 발뒤꿈치를 물었다’고 해야 직성이 풀리겠지. ‘뿔테안경이 너를 자꾸 쳐다봐’라는 친구의 말을 듣고, 마음이 설레기보다는 “안경은 사람을 볼 수 없어!”라며 분연히 자리를 박차고 일어날지도 모른다.

문제는 말이란 게 사회적 맥락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석된다는 점이다. 맥락에 따른 해석은 개인의 범위를 벗어나기도 한다. ‘한국이 요르단에 참패했다’는 말이 쓰인 사회적 맥락을 모른다면 전쟁에서 졌는지, 배구에서 졌는지, 축구에서 졌는지 알 수 없다. ‘용산이 또 사고를 쳤다’는 말은 2년 전만 해도 뭘 뜻하는지 헷갈렸을 거다.

말의 부정확성은 인간이 세계를 유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보증해준다. 말을 논리로만 다투면, 재판에서 이길지는 몰라도 타인과 말이 통하지는 않게 될 거다. 기특하긴 한데, 웃음거리가 될 뿐.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