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했는데 왜 자꾸 전화질”…무개념 상사에 ‘벌금’ 부과한다는 호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주 정부가 근로자들이 퇴근 후에는 상사의 전화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근로자들이 근무시간 외 부당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거절하더라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고, 이를 어긴 회사에는 벌금을 매기는 내용이다.
버크 장관은 "근무시간 외 부당한 연락에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부여해 근로자들이 무급으로 초과 근무를 하지 않도록 막는 것"이라고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근무시간 이외 부당한 연락
거절해도 불이익 안 받도록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토니 버크 호주 고용부 장관은 전날 성명을 내고 해당 법안에 대한 상원 과반의 지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근로자들이 근무시간 외 부당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거절하더라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고, 이를 어긴 회사에는 벌금을 매기는 내용이다. 호주 정부는 이번주 중 해당 법안을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버크 장관은 “근무시간 외 부당한 연락에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부여해 근로자들이 무급으로 초과 근무를 하지 않도록 막는 것”이라고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앞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24시간 근무의 대가를 받는 사람이 아니라면 24시간 동안 온라인에서 대화가 가능하지 않다고 해서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법안에는 임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으로 고용될 수 있는 방법, 임시직 노동자에 대한 최저 근로기준 등도 포함될 예정이다.
한편 스마트폰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이 확산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근무시간 외 상사의 연락을 받지 않도록 하는 이른바 ‘연결되지 않을 권리’가 근로자의 기본권으로 부상한 바 있다.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국가에서는 이미 근무시간 외에는 휴대전화 전원을 끌 수 있는 권리 등이 법적으로 보장되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근무시간 외 전화, SNS 등 통신 수단을 이용해 업무지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이른바 ‘카톡금지법’이 수차례 발의됐으나 현실성이 낮다는 이유로 번번이 무산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나도 月100만원 평생 받을 수 있었네”…국민연금 분할수급자 7만명 돌파[언제까지 직장인] -
- “한 번 지나가면 흔적도 안 남아”…삼성 도대체 뭘 만든 거야 - 매일경제
- “이게 성과급? 장난하나”…‘더 올려달라’ 인상 요구에 대기업 ‘난감’ - 매일경제
- “3년 백수를, 한국이 자폭”…1년전 ‘클린스만 발탁’ 전한 獨매체, 눈길 - 매일경제
- “강아지 안고 있었던 건”…사망사고 사죄한 만취 벤츠女 ‘솔직고백’ - 매일경제
- 입사하자마자 신불자?…월급보다 많은 카드 지출, 어찌하오리까 - 매일경제
- “설 세뱃돈 얼마 준비하냐고요? 52만원 정도요”…3만원권 희망론도 ‘솔솔’ - 매일경제
- 중국이 한 짓에 전세계가 ‘발칵’…中 찬양글 왜이렇게 많나 했더니 - 매일경제
- ‘선거법 위반’ 임종성 징역형 집행유예 확정…의원직 상실 - 매일경제
- 무사히 런던 도착한 ‘쏘니’ 그는 ‘붉은악마’에 다시 한 번 사과했다…“감사하고 죄송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