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속삭임…코끼리·새를 통해 바라본 세상

송경은 기자(kyungeun@mk.co.kr) 2024. 2. 7.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밀림 한가운데다.

코끼리는 어디로 갔을까.

회화 작품 '코끼리 걷는다-물과 풀이 좋은 곳으로 3'(2021)에서 엄정순 화백은 한반도에 들어온 첫 번째 코끼리를 둘러싼 역사적 사건을 모티브 삼아 보는 것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코끼리와 새, 나비 등 사람이 아닌 생명체의 시선을 통해 보는 것과 듣는 것, 움직이는 것 등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드로잉과 회화·사진·조형 등으로 표현한 6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정순 두손갤러리 개인전
엄정순 화백의 ‘코끼리 걷는다-물과 풀이 좋은 곳으로 3’(캔버스에 유채, 228×362㎝, 2021). 두손 갤러리
가까이 다가가 보니 밀림 한가운데다. 숲은 초록 잎으로 우거졌고 나뭇가지는 제멋대로 뻗어 있다. 언뜻 자유분방해 보이지만 어딘가 속박돼 있는 느낌이다. 한두 발짝 뒤로 물러섰다. 코끼리였다. 코끼리는 어디로 갔을까. 회화 작품 ‘코끼리 걷는다-물과 풀이 좋은 곳으로 3’(2021)에서 엄정순 화백은 한반도에 들어온 첫 번째 코끼리를 둘러싼 역사적 사건을 모티브 삼아 보는 것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엄정순 화백의 개인전 ‘흔들리는 코끼리’가 오는 3월 16일까지 서울 중구의 두손 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코끼리와 새, 나비 등 사람이 아닌 생명체의 시선을 통해 보는 것과 듣는 것, 움직이는 것 등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드로잉과 회화·사진·조형 등으로 표현한 6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지난해 열린 ‘2023 광주비엔날레’에서 ‘박서보 예술상’을 받아 화제를 모았던 ‘코 없는 코끼리’(2022)도 다시 만나볼 수 있다.

엄 화백의 서사는 1421년 3월 14일 세종실록에서 시작된다. 조선시대였던 1411년(태종 11년) 일본이 코끼리를 선물하면서 코끼리가 우리 땅을 밟은 지 꼭 10년이 되는 해였다. 당시 코끼리는 조선에서 식량을 축내고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려 죽게하는 등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 곳곳에서 코끼리를 사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하지만 세종대왕은 “물과 풀이 좋은 곳으로 보내어 병들고 굶어 죽지 않게 하라”며 코끼리를 죽이는 대신 유배를 보냈다.

오는 3월 16일까지 서울 중구의 두손 갤러리에서 열리는 엄정순 화백 개인전 ‘흔들리는 코끼리’의 전시장 전경. 송경은 기자
엄 화백은 사진 작업에서 유배를 가는 코끼리의 시선을 따라 주변 풍경을 최대 폭 8m에 달하는 프레임에 담았다. 직접 촬영한 풍경 사진을 리터칭한 작업이다. 전시장에 굽이굽이 펼쳐져 있는 작품 안에는 움직이는 코끼리의 눈에 비친 흔들리는 광경이 보일 듯 말 듯 모습을 드러낸다. 자연히 머릿 속엔 600여 년 전 봄 개나리, 진달래 꽃길을 지나갔을 코끼리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 같은 흔들림의 표상은 존재의 변화하는 속성을 드러낸다.

새롭게 소개된 ‘들리지 않는 속삭임’ 연작은 엄 화백이 다년간 하늘을 나는 새, 나비 등을 관찰하면서 얻은 감상을 화폭에 담아낸 것들이다. 캔버스의 빈 공간과 묵직하면서도 수채화처럼 묽게 펼쳐진 검은 붓 터치는 여백의 미를 가진 한 폭의 수묵화 같다. 코끼리를 표현한 작품과 마찬가지로 화면은 흔들리고 선과 색은 가볍게 흩어진다.

엄 화백은 “비록 우리한테는 들리지 않지만 새와 나비도 각자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됐고, 그것이 작업의 중요한 계기가 됐다”며 “과거에는 이들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춰 그림을 그렸었는데 역동적으로 무언가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같은 대상도 완전히 다르게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엄정순 화백의 ‘들리지 않는 속삭임’ 연작. 인간은 알아차릴 수 없지만 새, 나비 등 하늘을 나는 생명체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소통하는 모습을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형상화한 유화 작품이다. 송경은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