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4년 만에 다시 문 연 소록도 가보니…

2024. 2. 7. 16: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흥반도 넘어 다리 하나를 건너면 나오는 작은 섬 하나.

코로나19로 막혔던 소록도 출입이 4년 만에 풀리면서 시민 누구나 소록도를 찾아올 수 있습니다.

한때 6천 명 넘는 한센인들이 소록도에 살았지만, 현재는 한센병을 극복한 주민 360여 명만이 소록도를 지키고 있습니다.

이들은 4년 만에 찾아온 손님들을 반기면서 소록도를 단순히 관광지로 바라보지 말아 달라고 당부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흥반도 넘어 다리 하나를 건너면 나오는 작은 섬 하나.

어린 사슴을 닮았다 해 이름 붙여진 '소록도'입니다.

지난 2009년 소록대교 개통 이후 연간 30만 명이 넘게 찾아왔지만, 지난 2020년 코로나로 외부인의 출입이 통제됐습니다.

코로나19로 막혔던 소록도 출입이 4년 만에 풀리면서 시민 누구나 소록도를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감염병의 하나인 '한센병'에 걸린 환자들을 강제격리했던 아픔이 담긴 역사적 장소이기도 한 소록도.

소록도에는 한센인들이 겪은 애환의 역사가 서려 있습니다.

한센병 박물관에서는 한센병을 앓은 주민들의 흔적이 담겨 있습니다.

40년 넘게 한센인을 돌본 소록도 천사 마리안느와 지난해 선종한 마가렛 간호사의 숭고한 희생 정신은 섬 곳곳에 깊이 배어 있습니다.

중앙공원에서는 동백과 매화 등 500여 종의 식물과 아름다운 남해의 바닷바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때 6천 명 넘는 한센인들이 소록도에 살았지만, 현재는 한센병을 극복한 주민 360여 명만이 소록도를 지키고 있습니다.

이들은 4년 만에 찾아온 손님들을 반기면서 소록도를 단순히 관광지로 바라보지 말아 달라고 당부합니다.

[박형석/소록도 주민자치회장 : 관광지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우리 어른들이 어렵게 힘들게 일군 땅이라고 생각하시고 역사를 배워 가는 그런 자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문을 열었다는 소식에 벌써 전국 각지에서 역사의 흔적을 찾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배미라/경기도 양평군 : 너무 아름다워요. 아름답다는 소리를 듣긴 들었는데 너무 아름다워서 계속 감탄하면서 왔거든요. 근데 너무 슬픈 역사가 있어서 아름다우면서 동시에 가슴이 아픕니다.]

치유와 희망을 상징하는 땅으로 거듭난 소록도가 다시 시민의 곁으로 돌아왔습니다.

(취재 : KBC 고영민 / 영상취재 : KBC 김형수 / 영상편집 : 오영택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