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서 줘도 기억 못하면 치매 의심…외출 꺼리면 우울증 위험
자주 소변 보면 전립선비대증
여성은 요실금·방광염·야간빈뇨
숨기지 말고 적극 치료해야
자꾸 되물으면 노인성 난청
나빠지기 전에 보청기 착용해야
설 연휴를 맞아 오랜 만에 부모님과 만난다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부모님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괜찮아, 나이 들어서 그래’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노화 탓에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증상들도 건강이상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하는 게 좋다.
○중장년층 비뇨기계 질환 체크해야
중장년 남성이라면 전립선 건강을 확인해야 한다. 평소와 달리 자주 소변을 보거나 소변을 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립선비대증 등을 의심해야 한다. 전승현 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전립선 질환을 방치하면 방광, 신장기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전립선암은 증상이 나타났을 땐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배뇨에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참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했다.
과거 전립선암은 60~70대 환자가 많았다. 최근엔 이보다 젊은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50세 이상이라면 1년에 한 번 정도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중년 여성에게도 요실금, 방광염, 야간 빈뇨 등 비뇨기계 질환이 흔하다. 적절한 소변 횟수는 하루 8회 미만이다. 이보다 지나치게 많이 소변을 보거나 배뇨 시간이 길고 소변이 새어나오는 증상이 있다면 배뇨 장애로 분류한다. 여성은 폐경 이후 배뇨장애가 흔히 나타난다. 밤 시간 자주 화장실을 가는 야간 빈뇨가 있으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게 좋다.
○치매 초기엔 기억력 감퇴로 시작
고령인 부모님에게 걱정되는 질환 중 하나가 치매다. 치매 발병 원인의 70% 정도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초기엔 사소한 기억력 감퇴로 시작해 시간이 지날수록 사고력, 이해력, 계산능력 등 인지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뇌세포 손상이 비교적 적은 초기에는 건망증과 증상이 유사해 주변 사람들이 쉽게 지나치는 경향이 있다. 건망증이라면 단서만 주어지면 다시 기억해낼 수 있다. 반면 치매는 단서를 줘도 지난 일을 회상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인지저하 상태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10~15%는 매년 알츠하이머병 치매로 발전한다.
알츠하이머병의 명확한 발병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우울증, 유전적 요인 등이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평소 규칙적 운동과 식이조절, 정기 검진을 통해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한다.
대화 중 말을 한번에 이해하지 못하고 자꾸 되묻는다면 노인성 난청일 가능성이 높다. 청력 노화는 30대 후반부터 시작된다. 65세가 되면 4명 중 1명이, 75세는 3명중 1명, 85세는 2명 중 1명, 95세가 되면 누구나 난청을 호소한다.
노인성 난청이 생기면 청력을 예전 상태로 회복할 수 없다. 노화 진행에 따라 증상이 더 나빠지기 때문에 조기에 보청기를 착용하는 게 좋다. 보청기를 착용한 뒤 소리에 적응하는데 6주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 조용한 곳에서 시작해 점점 시끄러운 환경으로 옮겨가며 서서히 착용 시간을 늘리면 보청기 소리에 적응할 수 있다.
○“몸 아프다, 소화 안된다” 우울증 신호
노년기가 되면 다양한 요인 탓에 우울증이 생길 수 있다. 신체 질병, 신경 의학적 변화, 줄어든 사회활동, 경제적 어려움, 사별, 인지기능 저하 등 원인은 다양하다. 국내 70~79세 우울장애 1년 유병률은 3.1%로 모든 연령층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선제영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노인들은 정신적 문제를 부정하거나 숨기는 사례가 많다”며 “우울하다고 표현하기보다 ‘몸이 아프다’, ‘소화가 안 된다’처럼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 우울증을 알아채기 어렵다”고 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신체 증상을 이전보다 많이 표현하거나 갑자기 무기력해져 외출 빈도가 줄고 평소 하던 일도 하지 못한다면 노인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노인 우울증은 치매의 위험 요인이자 자살의 주요 원인인 심각한 질환이다.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일상생활 기능을 되찾고 독립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병원 치료와 함께 규칙적 생활 습관, 운동, 금주, 긍정적 생각 등을 하는 게 치료에 도움된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가족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것도 중요하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제 뭐 해서 먹고 사나"…170cm 60kg 로봇 직원의 '공습' [글로벌리포트]
- 일본산 가리비인데…중국산으로 원산지 속여 팔았다
- 1년 동안 자격증 9개 딴 어린이집 교사…인생이 달라졌다
- 현금 부자 이렇게 많았나…'10억 로또' 아파트에 5만명 몰렸다
- "엄마 말이 맞았네"…美서 최고의 세탁기에 'LG 통돌이'
- 이경규 "물러나야지 정몽규"…이천수는 '해줘 축구' 작심 비판
- "전용기 추적 멈춰"…대학생에 경고장 보낸 테일러 스위프트
- 이재용 딸, 미국 NGO 인턴 됐다…자소서 내용 봤더니
- '연봉 40억' 받았던 나영석 "나보다 김태호 PD가 더 부자"
- "흑돼지 맛집이라더니 속았다"…입소문난 'SNS 핫플'의 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