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중시' 캠벨 美국무부 부장관 후보자, 인준안 상원 통과

이예빈 기자 2024. 2. 7. 14: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내에서 미국과 아시아의 관계를 총괄해온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가 6일(이하 현지시각) 의회 인준 절차를 통과했다. 사진은 지난 7월18일 커트 캠벨 후보자가 김태효 국가안보 부보좌관과 서울 대통령 집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내에서 미국과 아시아의 관계를 총괄해온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가 의회 인준 절차를 통과했다. 캠벨 후보자는 백악관에서 아시아 동맹 결집을 지휘해왔다. 그가 미 국무부로 자리를 옮기면서 미국의 아시아 결집 노력이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6일(이하 현지시각) AP통신과 보이스오브아메리카(VOA) 등에 따르면 이날 미국 상원은 캠벨 미국 부장관 후보자 인준안을 찬성 92표, 반대 5표로 통과시켰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22일 캠벨 후보자를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로 지명한지 석 달 만이다. 캠벨 후보자는 지난해 7월 은퇴한 웬디 셔먼 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의 뒤를 잇는다.

캠벨 후보자는 미국 내에서 대표적인 아시아 전문가다. 그는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지냈고 버락 오바마 전 미국 행정부에서도 같은 업무를 맡았다. 또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으로 대중국 및 대아시아 정책을 총괄해 왔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과 캠프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에서도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워싱턴 선언' 후속 조치인 한미 핵 협의 그룹(NCG) 1차 회의에 미국 대표로 참석했다.

캠벨 후보자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 시절 중국의 부상 등 국면에서 미국의 외교정책의 중심축을 아시아로 돌려야 한다는 '피벗' 정책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런 캠벨 후보자가 아시아 총괄에서 국무부 2인자로 자리를 옮기면서 일각에서는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아시아 정책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6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백악관은 캠벨 후보자의 공백에도 새로운 인도·태평양 조정관을 임명하지 않을 방침이다. 백악관의 이러한 결정은 중국을 향하던 미국의 초점이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 2024년 미국 대선으로 흐려지면서 동맹국들이 불안해하는 상황에서 내려졌다. 미국 동맹국 관계자들과 한국, 일본, 호주의 견해에 친숙한 전문가들은 "워싱턴 각국 대사들과 캠벨 후보자의 광범위한 외교관계를 고려하면 그의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고 밝혔다.

캠벨 후보자가 미 국무부에서도 아시아 정책의 중심을 잡을 수 있지만 전 세계를 관리해야 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관심이 소홀해질 가능성도 있다. 오바마 행정부에서 당시 근무했던 에반 메데이로스 전 백악관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아시아에 대한 백악관의 리더십은 필수적이었는데 이제 그 리더십이 사라졌고 대체되지 않는다"며 "이에 아시아와 유럽 동맹국들 사이에 엄청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미국 정치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이 캠벨 후보자를 통한 백악관으로의 예외적 접근권을 잃어버릴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한국 외교당국 관계자는 뉴시스를 통해 "전혀 불안감 같은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어 "바이든 미국 행정부도 4년 차다 보니 새로운 정책을 설계하기보다는 이행 중심으로 가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백악관 다른 관계자들과 소통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오히려 캠벨 후보자의 미국 국무부 이동은 한국 정부 입장에서 고무적인 일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과 관계가 깊은 만큼 미국 행정부 내에 고위급 우군이 생겼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만큼 미 국무부 차원에서의 북한 문제 대응도 기대할 여지가 있다.

캠벨 후보자는 지난달 청문회에서 "북한이 현 상황에서 더 이상 미국과의 외교에 관심이 없다고 결심한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우리가 억제력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예빈 기자 yeahvi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