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주체 62%는 늘봄 반대…학부모는 50%가 찬성"
[EBS 뉴스12]
정규수업 전후로도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새 학기부터 크게 확대되지만,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놓고는 논란이 여전합니다.
학부모들은 대체로 찬성 의견이 높지만, 교사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는데요.
교육 주체들 사이의 이견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지가 정책 성공을 좌우할 핵심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박광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 저학년은 이른바 돌봄 절벽이 우려되는 시기로 꼽힙니다.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이 일부 운영되지만, 수요에는 크게 못 미칩니다.
이런 환경은 고스란히 부모의 경력 단절이나 사교육비 부담으로 이어집니다.
정부가 늘봄학교의 확대 시기를 앞당긴 이유입니다.
인터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지난 5일)
"학부모들께서 아이들 안심하고 맡기고 맘껏 경제사회활동을 하려면은 학교 돌봄이 꼭 필요합니다. '페어런츠 케어'에서 이제는 '퍼블릭 케어', 즉 국가 돌봄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하지만 전면 확대 계획을 발표한 뒤에도 현장의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실이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와 교사와 학부모 등 4만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늘봄학교 전면 도입에 반대하는 의견은 절반을 넘는 6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초등 교원은 92.4%가 도입에 반대했습니다.
인터뷰: 정미라 부소장 /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교실 환경이라고 하는 것이 돌봄 환경하고는 다르거든요. 만약에 기존 교실에서 늘봄이 계속 진행이 된다라고 했을 경우에 그다음 날 또 수업을 해야 하는 그 교실 환경 어떻게 담보할 수 있겠느냐?"
반면 학부모의 경우엔 늘봄학교 도입을 찬성하는 의견이 더 많았는데, 응답자 절반이 늘봄학교 도입에 긍정적으로 답했고, 반대 의견은 36%에 그쳤습니다.
늘봄학교 운영계획에 대한 직종 간 이견도 커서, 교사들은 95%가 늘봄학교 업무 배제에 동의한 반면, 행정직 공무원의 72%는 반대 의견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신창기 정책위원장 /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공간은 학교로 하되 그 책임과 실무 인력을 지방자치단체나 민간에 위탁해서 하는 등으로 철저하게 교원이 배제되는 확실한 근거가 있다면 교원들은 충분히 합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당장 올해부터 전국 모든 학교로 확대되는 늘봄학교.
교육 주체들 사이의 의견을 좁히고, 구체적인 예산과 인력의 청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성공의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EBS 뉴스 박광주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