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맞던 ‘내소사 동종’ 지키려 국보 추진… ‘고려 걸작’ 널리 알릴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9일 전북 부안군 내소사에서 '내소사 동종(銅鐘·구리로 만든 종·사진)' 국보 지정식이 열렸다.
높이 104.8cm, 입지름(원통 모양으로 된 물건의 지름) 67.2cm로 고려 후기 동종 중 가장 큰 이 종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됐으며 지난해 12월 국보로 승격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종각에 방치돼 훼손 우려
절 안에 보존시설 지어 옮겨와
“박물관으로 발전시켜 전시 계획”
내소사 동종은 통일신라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예술혼이 잘 깃든 걸작으로 꼽힌다. 용이 입을 벌린 채 살아서 날아갈 것 같은 용뉴(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 섬세한 꽃잎으로 표현된 4개의 당좌(撞座·범종을 칠 때 당목이 닿는 곳), 균형 잡힌 비례와 몸체의 아름다운 곡선 등 뛰어난 조형성과 장식성은 고려 후기 동종의 본보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종 아랫부분과 윗부분을 두른 덩굴무늬 띠, 어깨 부분에 표현된 입체적인 연꽃 문양도 아름다움을 더한다. 몸체에 부처가 설법할 때 그 주변에서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는 존재인 천인상(天人像) 대신 삼존상을 부조로 배치한 점도 눈길을 끈다. 삼존상은 불교에서 받들어 모셔야 할 세 분의 존귀한 존재, 부처와 양옆에 두 보살을 나란히 새긴 조각상을 뜻한다.
보기 드물게 종을 만든 내력이 담긴 주종기(鑄鐘記)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크다. 주종기에 따르면 이 종은 고려 고종 9년(1222년) 한중서(韓冲敍)라는 장인이 만들었다. 원래 ‘청림사’라는 절에 봉안됐다가 1850년(조선 철종 1년) 내소사로 옮겨졌는데, 이런 내용을 적은 이안기(移安記)가 몸체에 새겨져 있다. 한중서는 13세기 초·중반 활동한 장인으로 그 실력을 인정받아 고령사 청동북(1213년), 복천사 청동북(1238년), 신룡사명 소종(1238년), 옥천사 청동북(1252년) 등 여러 작품을 남겼다. 이 때문에 문화재청은 국보 승격 당시 “내소사 동종은 양식, 의장, 주조 등에서 한국 범종 역사와 제작 기술, 기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라며 “주종기와 이안기 등을 통해 봉안처, 발원자, 제작 장인 등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 가치가 매우 뛰어나다”고 밝혔다.
부안=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대 2000명 더 뽑는다… 現고3부터 5058명 선발
- [송평인 칼럼]검사 윤석열과 左동훈 右복현의 ‘수사 농단’
- [단독]‘트럼프 최측근‘ 오브라이언 “美전력, 中억제에 초점”… 주한미군 조정 시사
- 한국, 요르단에 사상 첫 패배… 64년 만의 우승 도전도 좌절
- 탈북민 72% “탈북前 1년간 식량배급 못받아”
- HMM 매각 끝내 무산… 산은-하림 협상 최종 결렬
- 다리에 쥐가 잘 나고, 심장이 자주 두근두근
- 이원모 “강남을 출마 고집 않겠다”… 與 “서병수-김태호 낙동강 험지로”
- 野공관위 “尹정권 탄생 책임져야”… 친문 불출마 압박에 정면충돌
- 이재용, ‘1심 무죄’ 하루만에 UAE로 글로벌 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