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年1조8000억원 번 웹툰, 북미 시장도 70% 점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만화·애니메이션 종주국 일본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애니메이션 '나 혼자만 레벨업'은 동명의 한국 웹툰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원작 웹소설·웹툰의 인기에 힘입어 카카오픽코마(옛 카카오재팬)는 '소드 아트 온라인' '일곱개의 대죄' 등을 만든 일본 애니메이션 명가 A-1 픽처스와 협업해 '나 혼자만 레벨업'을 애니메이션화했다.
'슬램덩크' '스즈메의 문단속' 등 일본 애니메이션이 한국 시장에 끼치는 영향력 못지않게 한국 웹툰도 전 세계 웹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서 제작해 글로벌 흥행
입학용병·재혼황후·약탈신부
日서 월거래액 각각 100억원
만화·애니메이션 종주국 일본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애니메이션 '나 혼자만 레벨업'은 동명의 한국 웹툰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지난달 6일 넷플릭스와 티빙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공개돼 일본에서 3위를 기록했고 10개국에서 4위 안에 드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다른 차원으로 이어진 문이 열리며 나타나는 괴물들을 사냥꾼들이 물리치는 이야기를 다룬다. 2016~2018년 카카오페이지에 연재되며 흥행한 웹소설이 웹툰으로 개작된 뒤 누적 조회수만 143억건을 넘었고 미국 온라인청원사이트 'change.org'에서 애니메이션화를 요청하는 청원 참여자가 22만명에 달할 만큼 전 세계적 인기를 끌었다.
영상화에는 '다국적 드림팀'이 참여했다. 원작 웹소설·웹툰의 인기에 힘입어 카카오픽코마(옛 카카오재팬)는 '소드 아트 온라인' '일곱개의 대죄' 등을 만든 일본 애니메이션 명가 A-1 픽처스와 협업해 '나 혼자만 레벨업'을 애니메이션화했다. 성진우·차해인 등 한국 이름을 가진 주인공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일본 업체가 제작해 일본과 세계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K웹툰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어난 진풍경이다.
'웹툰 종주국'인 한국의 웹툰 산업은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실시한 '2023 웹툰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웹툰 산업 매출액은 1조8290억원으로 전년 1조5660억원에서 16.3%(2630억원) 증가했다. 5년 전인 2017년 3799억원에 비해 5배 가까이 늘었으며 실태조사를 시작한 이래 5년 연속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웹툰 산업의 성장을 이끄는 것은 플랫폼이다. 플랫폼사의 2022년 매출액은 1조1277억원으로 전년 8241억원에서 36.8% 늘며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플랫폼사들은 해외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2일 카카오픽코마는 자사의 일본 내 디지털 만화 플랫폼 픽코마의 지난해 연간 거래액이 1000억엔(약 9000억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7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전 세계 디지털 만화 서비스 가운데 단일 플랫폼으로 연간 거래액이 1000억엔을 넘은 것은 픽코마가 유일하다.
네이버웹툰의 일본 내 디지털 만화 플랫폼인 라인망가와 이북재팬의 지난해 합계 거래액 또한 1000억엔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웹툰 '입학용병'이 월간 거래액 1억8000만엔을 넘어서며 라인망가 단일 작품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재혼 황후' '약탈 신부' 등이 월 거래액 1억엔을 상회하는 성과를 냈다. '입학용병'은 지난해에만 일본에서 10억엔(약 90억1000만원)을 벌어들였다. 라인망가를 운영하는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에 따르면 2023년 라인망가의 거래액과 조회수 등을 합해 종합랭킹을 집계한 결과 10위 중 7개가 '참교육' '싸움독학' 등 한국에서 발굴한 크로스보더 콘텐츠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시장 또한 네이버웹툰 점유율이 70%가 넘는다. '슬램덩크' '스즈메의 문단속' 등 일본 애니메이션이 한국 시장에 끼치는 영향력 못지않게 한국 웹툰도 전 세계 웹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최근 '만화·웹툰 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했다. 웹툰계의 넷플릭스 같은 세계적 플랫폼을 육성하고, 통역·번역 지원 예산을 확대하며, 만화·웹툰계의 칸영화제 같은 권위 있는 축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국가 차원에서 확실히 지원해 웹툰 종주국 위치를 지키고 글로벌 플랫폼 입지를 굳히겠다"고 말했다.
[김형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강남 부자 몰려가는 구내식당?…맛있어서 매일 품절이라는데 ‘어디’ - 매일경제
- 6만6천원이던 주가 117원…1조5천억 투자한 손정의 회장, 어쩌나 - 매일경제
- 신형 벤츠 E클래스 타보니 “아, 정말 짜증나네”…지겹지만 ‘이만한 車’ 없다 [카슐랭] - 매일
- “이 돈이면 경기도에 더 큰 집”…서울에서 86만명 빠져나간 이유있네 - 매일경제
- 아이유, ♥이종석도 놀랄 ‘파격 핑크머리’ 변신 [별별 사진집] - 매일경제
- 200만원 넘보던 황제주 어쩌다가…CEO 결단, 주가 끌어올리나 - 매일경제
- “놀라운 행운 우왕좌왕”…요르단과 준결승전 클린스만, 운세보니 ‘소름’ - 매일경제
- [단독] 옆집보다 1억 싸도 통째 미분양…서울 역세권 ‘이 동네’ 무슨 일 - 매일경제
- '천궁-Ⅱ' 사우디도 뚫었다 LIG넥스원 4.2조 수출계약 - 매일경제
- 오타니가 한국 방송 출연? 실현 가능성 있나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