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1년…집이 된 텐트와 컨테이너, 여전히 아물지 않은 상처

최서은 기자 2024. 2. 6. 14: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5일, 튀르키예 하타이 지방 안타키아의 파괴된 건물 옆을 사람들이 지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규모 7.8의 강진이 튀르키예 남동부와 시리아 북서부를 강타한 지 1년이 흘렀다. 지진은 평화롭던 마을에서 수만명의 목숨과 삶의 터전을 앗아갔고, 피해자들의 상처는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 지역의 생존자들은 폐허로 변한 도시에서 1년째 컨테이너 및 텐트 생활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진 당시 무너지고 파괴된 건물들은 아직도 철거되지 않은 채 잔해와 함께 그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지난해 2월6일 발생한 대지진으로 튀르키예에서 약 5만3000명, 시리아에서 최소 6000명 등 6만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수십만 채의 건물이 무너져 내렸고, 수백만 명이 터전을 빼앗겼다.

알리와 수자르 부부는 9살짜리 딸 엘라와 함께 컨테이너에서 살고 있다. 엘라는 부부의 세 자녀 중 지진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이다. 지진의 충격으로 엘라는 아직도 건물 안에 들어가기를 두려워하고, 학교에도 가지 않는다. 알리는 “지진 이전에 우리 가족은 행복했었다”며 “지진 때 입은 부상으로 세 번의 수술을 받은 후 이제 나는 더 이상 일도 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알리의 가족은 튀르키예 적신월사의 피해 지원금에 의존해 살아가고 있다.

지진으로 친척들을 잃은 이재민 야나르도 아내·자식들과 함께 컨테이너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는 “우리 머리 위에 지붕이 있어 다행이긴 하지만, 두 아이와 함께 컨테이너에서 지내는 건 좀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삶에 어떤 기대도 남아있지 않다”며 절망스러운 심경을 전했다.

튀르키예 남부 안타키아에 위치한 임시 컨테이너 정착촌. AP연합뉴스

컨테이너 지원 우선순위에서 밀린 일부 생존자들은 밤 기온이 4도까지 떨어지는 추운 날씨 속에 난방기구도 없이 방수포로 만든 텐트에서 겨울을 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튀르키예 정부의 각종 지원 대상에서 소외된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 이후 이 지역의 임대료는 4배가량 올랐다. 관광객이 사라지면서 다수의 생존자들은 경제적으로 곤경에 처했다. 한 상점 주인은 “사람들은 더 이상 하타이를 방문하지 않고, 많은 현지인들이 도시를 떠나거나 도시 외곽에 위치한 컨테이너에 살고 있다”면서 “복구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5일(현지시간)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 하타이 지방의 항공 사진. AFP연합뉴스

지난 13년간 지속된 내전에다가 대지진까지 겹친 시리아 북서부 지역은 더욱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다. 월드비전에 따르면 시리아 북서부에는 오로지 국제단체의 인도적 지원에만 의존해 살아가고 있는 주민이 410만여명에 달한다. 약 600만명의 아동과 여성들은 필수적인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식량 지원은 이전보다 절반 수준으로 줄었고, 의료 시설 역시 폐쇄되거나 축소돼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생존자들이 겪는 정신적 트라우마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지진으로 인한 부상, 여진에 대한 두려움, 낯선 곳으로의 이주,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등 상상할 수 없는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에 사는 압둘가니는 알자지라에 “두려움과 혼란만 생각난다”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지진으로 남편을 잃었고, 여전히 불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 심리치료사는 “이번 지진은 이전의 국내 다른 재난들과 달랐다”면서 “가족, 친구, 집, 미래에 대한 희망을 한꺼번에 잃으면서 방어 기제가 심해졌다”고 말했다. 많은 생존자들은 여진이 모두 끝난 뒤에도 여전히 극도의 공포를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평생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 전문가들은 지진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아이들의 남은 평생 동안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리아의 한 마을에 지진 생존자들이 거주하는 텐트들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