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출산 해소 이제 기업이 나설 때’ 신호탄 쏘아 올린 부영

2024. 2. 6.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 대기업 부영그룹이 파격적 출산 지원 제도를 마련했다.

아이를 낳는 직원에게 자녀 1인당 1억원의 출산 장려금을 지원한다는 게 그 요지다.

많은 기업이 출산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이번처럼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사례는 여태 없었다.

부영과 같은 거액의 금전적 혜택이 아니더라도 기업이 출산 지원과 관련해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얼마든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설 대기업 부영그룹이 파격적 출산 지원 제도를 마련했다. 아이를 낳는 직원에게 자녀 1인당 1억원의 출산 장려금을 지원한다는 게 그 요지다. 두 명을 낳으면 2억원을 지급하고 셋이면 임차료 없이 영구임대 주택에 살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내용도 있다. 지원 제도는 곧바로 적용됐다. 2021년 이후 자녀가 출생한 직원들에게 이미 1억원이 지급됐다. 쌍둥이나 연년생을 낳아 2억원을 받은 직원도 5명이 나왔다. 많은 기업이 출산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이번처럼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사례는 여태 없었다.

부영이 통큰 출산 지원책을 마련한 이유는 자명하다. 고질적인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제 기업이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중근 부영 회장이 직접 배경 설명에 나선 것도 이런 까닭이다. 이 회장은 “대한민국의 출생률이 지금 이대로 가면 20년 후에는 일할 사람이 급감하고 나라를 지킬 군인이 부족해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고 했다. 국가 소멸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며 백방으로 노력해 왔다. 하지만 출산율은 되레 더 떨어지는 등 그 결과는 참담할 정도였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의 기간 축인 기업이 그 책임을 함께 떠맡아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이번에 부영이 던진 셈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0.78명이었다. 이게 올해 0.70명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1명은 돼야 지금의 인구라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근본적 요인은 결국 비용과 육아다. 그러나 일시적인 금전 지원 등 정부 제도만으로는 가임 부부들에게 충분한 동기 부여가 어렵다. 문제는 아이를 마음 놓고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이다. 아이를 낳으면 사회가 함께 육아를 책임진다는 의식이 확고히 뿌리를 내려야 비로소 젊은이들이 ‘출산할 결심’을 하게 되는 것이다. 기업이 그 밑거름이 돼 줘야 한다.

첫 술에 배 부를 수는 없다. 부영과 같은 거액의 금전적 혜택이 아니더라도 기업이 출산 지원과 관련해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얼마든지 있다. 적어도 휴직 등 관련 제도라도 눈치 보지 않고 마음 편안하게 쓸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그 시작이다. 이에 응하지 않는 부서 책임자는 회사가 불이익을 주는 등의 제도적 장치라도 두라는 것이다. 또 사내 어린이집 등 육아 시설 등에 대한 기업의 투자도 지속적으로 늘려야 한다. 충분한 금전 지원을 병행한다면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시대정신과 맞아야 한다. 지금 기업이 해야 할 일이 바로 저출산 해소 동참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