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소리치는 北 정확한 실상 파악부터…‘고려거란전쟁’ 통해 본 교훈 [핫이슈]
방어태세 만전, ‘안보 포퓰리즘’ 경계
현명한 지도자는 쉬워 보일 때도
비극적인 상황 변화 염두해둬야
요즘 TV 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은 강감찬이 활약하는 3차 거란 침입(1018년)을 앞두고 있다. 2차 침입 때 거란 요나라 황제 성종에게 친조(親朝)를 약속하고 거란군을 철군시킨 고려 현종은 이후 아프다는 핑계로 친조 요구를 계속 거부한다. 이를 괘씸히 여긴 성종은 1차 침입 때 서희 담판으로 내준 지금의 평안도 ‘강동 6주’를 돌려주지 않으면 침략하겠다고 엄포를 놓는다. 이를 막고자 요나라 수도 상경에 사신으로 찾아간 현종의 장인(김은부)은 현지에서 기막힌 정보를 얻는다. 거란이 서북 지역 반란들을 토벌하는데 정신이 팔려 고려를 침략할 경황이 없다는 것이다. 요가 고려 침략을 떠벌린 것은 공갈포였던 것이다. 김은부가 어렵게 이 소식을 고려 조정에 전하자 성종은 ‘침략 불가’를 확신하고 북쪽 국경 강화에 매진하게 된다. 몇년 뒤 거란의 3차 공격을 귀주대첩으로 막아낸 것은 적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그에 따른 대비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가. 북한은 지난해 말부터 우리를 향해 전쟁 운운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불멸의 주적’인 한국과는 통일도 포기하고 전쟁을 준비하겠다며 이달 들어 연일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고 있다.
이에 한미 전문가들은 한반도 전쟁 발발부터 국지 도발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내놓고 있다. 로버트 칼린 미들베리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과 지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교수는 지난달 11일 북한 전문 매체 ‘38 노스’ 공동 기고에서 “지금 한반도 상황은 1950년 6월 초 이래 어느 때보다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리고는 “매우 극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우리는 김정은이 1950년 할아버지(김일성)처럼 전쟁을 하겠다는 전략적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본다”고 썼다. 반면 북한군이 쓸 무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있는 마당에 김정은의 겁박은 엄포용일 뿐이라는 진단도 있다. ‘고려거란전쟁’처럼 북한이 겉으로는 세게 얘기하지만 그들 사정을 들여다보면 실제 전쟁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변화무쌍한 정치외교 이슈에서 100% 예측 가능한 정답은 있을 수 없다. 하지만 북한 도발을 지켜보는 우리 국민은 예전보다 많은 예산과 수준 높은 기술장비를 갖고도 왜 정확한 예측을 못하는지 답답하다. 전쟁 개시 변수가 예전보다 많아져 분석이 힘들 수 있지만 정보 역량을 키우는데 막대한 비용을 쏟고 있음을 감안하면 다소 허망하다. 국정원 인적 정보 네트워크인 ‘휴민트’도 있고, 고도의 정찰위성으로 북한 동향을 샅샅히 감시할텐데 왜 좀더 명확한 답을 낼 수 없는가.
정부가 북한을 향해 내뱉는 거침없는 발언은 한두 번 들으면 속이 시원하다. 북한의 억지와 궤변에 우리 정부가 당당히 얘기하는 것을 꺼려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큰소리가 자주 반복되면 왜 시끄러운지 국민은 의심하게 되고 이러다 진짜 전쟁 나지 않을까 걱정이 들기 마련이다.
북한이 겉과 달리 전쟁을 일으키기 힘든 충분한 속사정이 있고, 우리가 그 점을 꿰고 있다면 지금처럼 강대강 국면은 당장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고려가 거란의 당면한 겁박을 무시하고서 향후 대비에 매진했던 것처럼 하면 된다. 대신에 만에 하나 전쟁이 일어난다면 한미가 초토화할 역량과 계획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지정학 연구자인 로버트 카플란이 최근 저서에서 “현명한 정치가라면 언제든 비극적으로 바뀔지 모를 상황을 염두해둬야 한다”고 한 말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돈을 뿌리는 것만이 포퓰리즘이 아니다. 불안한 안보 현실을 감추느라 공수표를 날리는 것도 ‘안보 포퓰리즘’이다. 특히 윤 정부는 북한과의 물밑 접촉도 과거 정부만큼 활발하지 않은데다 중국·러시아와 소원한 관계로 인해 이들을 통해 북한을 제어할 수단도 부족하다.
이제 우리 정부는 진짜 북한 의도가 무엇인지를 찾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국민을 달래려 북한을 무시하는 발언만 계속하다간 김정은 페이스에 휘말려 원치 않은 전쟁을 부를 수도 있다. 북한의 정확한 실상에 근거한 충실한 대비가 먼저지, ‘사이다 발언’의 유효기간은 짧다. 카플란의 지적대로 전쟁이라는 가장 비극적인 상황까지 염두해두고 조용히 국방 태세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 북한에 큰소리 쳤다가 전쟁이 나고, 북한의 실력을 그때서야 확인하고 나서 “국민께 사과드린다”는 말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2년 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푸틴 대통령과 크렘린 의중을 면밀히 파악하지 않은 채 “전쟁은 없다”는 희망회로나 “없어야 한다”는 당위론에 빠져 일어났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김병호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 돈이면 경기도에 더 큰 집”…서울에서 86만명 빠져나간 이유있네 - 매일경제
- 신형 벤츠 E클래스 타보니 “아, 정말 짜증나네”…지겹지만 ‘이만한 車’ 없다 [카슐랭] - 매일
- 오늘의 운세 2024년 2월 6일 火(음력 12월 27일) - 매일경제
- “불 붙나 했더니” 주식 또 찬물…삼전 등 대형주 일제히 떨어진 까닭은 - 매일경제
- 日매체 “요르단 기세 예사롭지 않아…한국도 결승진출 방심 말아야” - 매일경제
- 비트코인 이번엔 진짜 떡상?…‘이 형’ 한 마디에 개미들 기대감 쑥 - 매일경제
- 10만원어치 사면 1만원 ‘자동 할인’…설에 장볼 때 ‘이것’ 써볼까 - 매일경제
- 설 앞두고 ‘중국 한복’ 판매라니…이 쇼핑몰 대체 어딘가 봤더니 - 매일경제
- 정부, 오늘 2025학년도 의과대학 ‘증원 규모’ 발표 - 매일경제
- 오타니가 한국 방송 출연? 실현 가능성 있나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