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연동형+준위성정당’ 택한 이재명 “칼 든 상대에 방패라도 들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준연동제 안에서 승리의 길을 찾겠다"며 오는 4월 총선에서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다른 야당과 공동으로 비례대표 후보를 내는 '통합형 비례정당'을 추진하겠다며 "위성정당에 준하는 '준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을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성정당 논란 의식 네차례 사과·고육책 강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준연동제 안에서 승리의 길을 찾겠다”며 오는 4월 총선에서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다른 야당과 공동으로 비례대표 후보를 내는 ‘통합형 비례정당’을 추진하겠다며 “위성정당에 준하는 ‘준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을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5·18 민주묘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준연동제는 불완전하지만 한 걸음 진척된 소중한 성취”라며 이렇게 말했다.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두고 좌고우면하는 듯했던 이 대표는 전날까지만 해도 ‘권역별 병립형’으로 기울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으나, 이를 뒤집고 현행 유지를 택했다. 그러면서 “깨어 행동하는 국민들께서 ‘멋지게 이기는 길’을 열어주시리라 믿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해 11월28일 한 유튜브 방송에서 “멋지게 지면 무슨 소용이냐”며 2016년 20대 총선까지 적용했던 병립형 비례제 회귀에 무게를 실었던 자신의 발언을 ‘대국민 호소’로 바꾼 것이다. 이로써 이 대표는 정치개혁을 명분으로 준연동형제를 유지하겠다고 한 지난 대선 때부터의 ‘약속’은 지키게 됐다.
이와 함께 이 대표는 “정권 심판과 역사의 전진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과 함께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 비례정당을 추진하겠다”며 “‘민주개혁선거대연합’을 구축해 민주당의 승리, 국민의 승리를 이끌어내겠다. 민주개혁 세력의 맏형으로서, 더불어민주당이 주도적으로 그 책임을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야당과 시민사회의 요구를 수용해, 다수 야당이 참여하는 비례대표용 정당을 만들어 총선에 공동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이 대표는 ‘통합형 비례정당’이 “준위성정당”이라는 점을 사과하며 “같이 칼을 들 수는 없지만, 방패라도 들어야 하는 불가피함을 조금이나마 이해해달라”고 했다. 이런 결정의 배경이 국민의힘 탓이라는 것이다. 통합형 비례정당을 포함해 ‘위성정당 금지 실패’를 두고 이날 네차례 사과한 이 대표는 “거대 양당 한쪽이 위성정당을 만들면, 패배를 각오하지 않는 한 다른 쪽도 대응책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국민의힘이 △위성정당 금지 △권역별 병립형을 도입하는 대신 지역구와 이중등록 허용 △소수정당 30% 할당 또는 권역별 최소 정당득표율 3%에 1석 우선 배정 방안 등 민주당이 내놓은 제안을 모두 거절했다고 밝혔다.
임재우 기자, 광주/강재구 기자 abbad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판 커진 야권비례연합…‘꼼수 위성정당’ 꼬리표 뗄 길은?
- 요르단전 ‘90분 승리’가 핵심…역전 드라마 부담 쌓인 클린스만호
- 저녁밥 주는 ‘늘봄학교’ 4천억 예산 추가…새 학기 2700곳 미정
- [단독] ‘단톡방 성희롱’ 예비 소방관들 벌점만…2월에 정식 소방관
- 언니, 성매매 안 해도 돼서, 행복을 알게 해줘서 고마워
- ‘준연동형+준위성정당’ 택한 이재명 “칼 든 상대에 방패라도 들어야”
- [단독] 김경율 헛발질…“보고서에 19억 없다”더니 있다
- 여성 공무원 군필 공약…갈라치기보다 더 나쁜 바꿔치기
- “유산·사산 전 아팠는데 일했다” 81%…산재 인정은 10여년간 10명뿐
- 이미 뇌물공여죄 처벌 받았는데…‘이재용 불법승계 아니다’는 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