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공동연구팀, 치매 예측 물질 개발…"세계 최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연구진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치매 발병을 조기 예측할 수 있는 새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5일 조선대 등에 따르면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이건호 교수와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 연세대 약학과 김영수 교수 공동연구팀은 치매 유발 독성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연구진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치매 발병을 조기 예측할 수 있는 새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5일 조선대 등에 따르면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이건호 교수와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 연세대 약학과 김영수 교수 공동연구팀은 치매 유발 독성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에 결합하는 형광 물질을 통해 뇌 속에서 만들어지는 응집체를 직접 측정할 수 있고, 치매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도 응집체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독성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면서 신경염증을 유발해 뇌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뇌 속에 쌓여있는 것을 조기에 발견해 제거하는 방안이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지만 이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양전자단층촬영(PET)검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십억 원에 이르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검사 비용도 최소 100만원 이상 들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검사받기는 쉽지 않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실적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뇌 속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와 직접 결합해 형광을 발하는 물질 개발에 연구력을 집중해왔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 저명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건호 교수는 "지난 10년간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해 장기 추적관리와 함께 혈액 검체를 확보해둬 전 세계에서 가장 신속하게 치매 발병 예측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년 안에 국민건강검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in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삶] "애인이 내 머리털 모두 잘랐다…내가 남들 앞에서 잘 웃는다고" | 연합뉴스
- "타이슨 복귀전 6천만가구 시청"…시청자들 "버퍼링만 봤다" | 연합뉴스
- "머스크가 공동 대통령이냐?"…트럼프 일부 측근·후원자 '경악' | 연합뉴스
- 2m 놀이기구서 떨어진 5살…"보육교사 3개월 정지 타당" | 연합뉴스
- "창문 다 깨!" 31년차 베테랑 구조팀장 판단이 52명 생명 구했다 | 연합뉴스
- 모르는 20대 여성 따라가 "성매매하자"…60대 실형 | 연합뉴스
- 평창휴게소 주차 차량서 화재…해·공군 부사관 일가족이 진화 | 연합뉴스
- KAIST의 4족 보행로봇 '라이보' 세계 최초 마라톤 풀코스 완주 | 연합뉴스
- [샷!] "채식주의자 읽으며 버텨"…'19일 감금' 수능시험지 포장알바 | 연합뉴스
- 경찰, '동덕여대 건물 침입' 20대 남성 2명 입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