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반칙 막자며 또 위성정당? 이재명, `고탄수 다이어트`같은 소리"

한기호 2024. 2. 5. 14: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경원 국민의힘 전 의원은 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위성정당 반칙'에 대응하면서 준연동제(현행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고 밝히자 "한마디로 '고탄수 저단백'(저탄수 고단백에서 뒤집은 말) 다이어트"라고 빗대며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나경원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대표의 광주 기자회견 관련 "이 대표가 미루고 미루던 선거제 결정을 '드디어' 내렸다.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린다'고 하면서도 '민주당이 주도하는 또 다른 위성정당'의 창당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明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통합형 비례정당 선언에 나경원 "장고 끝에 꼼수"
"이해도 설명도 못하는 누더기 선거제, 윤미향·최강욱보다 센 사람 나올뿐"
"원내대표때 위헌 지적…의원꿔주기·가짜정당 난립 기형제도, 22대 국회서 개혁"
왼쪽부터 국민의힘 제22대 총선 서울 동작구을 예비후보인 나경원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나경원 전 국회의원 페이스북 사진·연합뉴스 사진 갈무리>

나경원 국민의힘 전 의원은 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위성정당 반칙'에 대응하면서 준연동제(현행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고 밝히자 "한마디로 '고탄수 저단백'(저탄수 고단백에서 뒤집은 말) 다이어트"라고 빗대며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나경원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대표의 광주 기자회견 관련 "이 대표가 미루고 미루던 선거제 결정을 '드디어' 내렸다.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린다'고 하면서도 '민주당이 주도하는 또 다른 위성정당'의 창당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본인들도 못 지킬 선거제 만들어 놓고 국민한테 강요하는 '장고 끝에 꼼수'"라고도 했다.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시절 구(舊)여권 다수의석 일방의 '준연동형 비례제 선거법 개정' 패스트트랙에 맞섰던 나 전 의원은 "지난 제20대 국회 민주당은 공수처법 통과를 위해 국민은 물론, 선거제를 만드는 국회의원조차 (비례대표 의석 산출 산식을) 제대로 이해도 설명도 못하는 준연동형 제도를 도입했다.누더기와 같은 선거제"라고 짚었다.

비례대표 전담 정당 난립이 예상된 가운데 그는 "누가 또 국회에 발을 들일지 뻔하다"며 "대한민국 정체성을 부정하고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혐의로 재판중인 윤미향 의원, 조국 전 법무장관 아들에게 허위 인턴확인서를 발급한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최강욱 전 의원, '이재명의 민주당'에선 아마도 더 센 사람들이 나타날듯 하다"고 했다.

나 전 의원은 "당시 원내대표로서 수차례 내용, 절차상 위헌성을 지적했고 헌정사의 오점임을 외쳤다. 위헌적 선거제를 어떻게든 막아보려 다수 권력에 저항했다"며 "(국회 패스트트랙·본회의 저지 국면에서) 처절하게 밀리고 밀려 끝내 막지 못했지만, 그때 우리 당이 국민과 함께 했던 시간들이 정권교체의 뿌리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거듭 "의원 꿔주기, 가짜정당 난립, 선거구 획정안 장기표류 등 꼼수정치의 토양이 된 기형적 선거법으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했다. 또 22대 총선 서울 동작을 예비후보로서 "22대 국회에서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선거제 개혁의 약속을 놓지 않을 것이다. 반드시 주권자를 위한 정직한 선거제를 되찾겠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국민의힘은 20대 총선까지 적용됐던 병립형 비례제 복원을 주장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여당이던 민주당 주축의 이른바 '4+1 협의체'는 교섭단체 간 합의로 선거법을 개정하는 관례를 파기하고 다수 의석으로 준연동형 비례제를 21대 총선부터 도입했다. 군소 진보정당 중심으로 연동형 비례제를 주장해온 것에 민주당이 연대한 결과였다.

이에 소선거구제인 253개 지역구 당선자를 다수 배출한 거대양당이 전국 정당득표율 기반 비례 47석 배분에서 후(後)순위로 밀릴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양당은 지역구 후보 없는 비례대표 공천 전담 위성정당을 따로 세워 병립형 시절과 비슷한 의석을 배분받았다. 비례의석 반사이익을 기대했던 정의당 20대·21대 총선 모두 6석에 그쳤다.

한기호기자 hkh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