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2년 연속 일본 제치고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지켜

김동규 2024. 2. 5. 0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과의 교역 규모에서 베트남이 중국, 미국에 이어 3위에 올랐다.

수출·수입·무역수지 등 3대 지표가 모두 전년보다 꺾였지만, '교역 규모 794억3천만달러'로 베트남은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를 지켰다.

2014년 당시 베트남은 한국의 8위 교역국에 불과했지만, FTA가 발효된 2015년에 4위로 올라선 데 이어 2022년에는 일본(853억2천만달러)을 제치고 처음 3위에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교역액 794억달러…中·美 이어 3위
K-반도체 수출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수출·흑자규모는 축소
첨단 전자제품 등 수출품 선적 중인 화물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지난해 한국과의 교역 규모에서 베트남이 중국, 미국에 이어 3위에 올랐다.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를 지킨 것이다.

5일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對)베트남 수출은 534억9천만달러, 수입은 259억4천만달러로, 무역수지 흑자는 275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전년보다 12.3% 감소했고, 수입은 2.9% 줄었다.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19.5% 축소됐다.

수출·수입·무역수지 등 3대 지표가 모두 전년보다 꺾였지만, '교역 규모 794억3천만달러'로 베트남은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를 지켰다.

이는 1위 중국(2천676억6천만달러)의 30% 수준, 2위 미국(1천869억6천만달러)의 42% 수준에 해당한다. 교역 규모 면에서 2년 연속 일본(766억8천만달러)을 앞선 것이기도 하다.

무역수지에서 베트남은 지난 2022년 한국에 342억4천만달러의 흑자를 안기며 미국(279억8천만달러)을 제치고 최대 무역흑자국으로 부상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이 최대 무역흑자국이었고, 베트남이 그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3라인(P3)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베트남과의 교역에서 수출이 줄고 무역 흑자가 축소된 것은 한국의 반도체 수출 부진 때문이다.

글로벌 시황 악화 등으로 '효자 품목'인 반도체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 대비 7.4% 감소했다. 이런 상황이 베트남과의 교역에도 반영된 것으로, 전체 베트남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4%에 달한다.

지난해 베트남으로의 반도체 수출은 127억3천만달러로 전년과 비교해 21.6% 감소했다.

반도체 외에도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123억5천만달러·1.4%↓), 석유제품(33억3천만달러·10.8%↓), 무선통신기기(21억7천만달러·8.1%↓), 합성수지(20억달러·22.5%↓) 등 5대 품목의 수출이 모두 전년에 비해 뒷걸음질 쳤다.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 역시 259억4천만달러로 전년보다 2.9% 감소했으나, 수출 감소 폭이 더 커 무역수지 흑자 폭도 함께 축소됐다.

공동 언론발표 마치고 악수하는 한-베트남 정상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이 지난 2022년 12월 5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공동 언론발표를 한 뒤 악수하고 있다. 2022.12.5 seephoto@yna.co.kr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은 지난 1992년 수교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수교 당시 5억달러에 불과하던 양국 교역 규모는 30년 이상 지난 현재 150배 넘게 커졌고, 교역 품목 또한 직물, 의류 등 노동 집약 상품에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진화했다.

특히 2014년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양국 교역 규모는 300억달러대에서 800억달러 규모로 2.5배 이상 성장했다.

2014년 당시 베트남은 한국의 8위 교역국에 불과했지만, FTA가 발효된 2015년에 4위로 올라선 데 이어 2022년에는 일본(853억2천만달러)을 제치고 처음 3위에 올랐다.

양국의 무역·투자는 기본적으로 한국이 베트남에 투자한 후 현지 공장에 필요한 중간재를 수출하고, 베트남은 완성된 최종재를 한국에 수출하는 구조다.

특히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 물량의 50% 이상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전체 수출의 20%가량을 차지하는 현지 최대 외국인직접투자(FDI) 기업으로, 2022년 하노이에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를 개소하는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에 진출한 삼성전자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들어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K-뷰티', 'K-푸드' 관련 제품의 수출도 증가 추세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정상외교를 통해 양국이 2030년까지 교역규모를 1천500억달러로 확대하기로 하고 민간을 중심으로 111건의 양해각서를 맺는 등 향후 경제협력 전망은 밝다"며 "기존 제조업뿐 아니라 공급망, 청정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로의 협력도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dk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