낟알에서 흰쌀까지… 한국 밥문화 가꿔온 ‘정미소의 뒤안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미는 순백으로 광택을 띠고 겨는 완전히 떨어져 나가 흡사 씻어낸 듯하다."
일본 언론인 가세 와사부로는 한국 최초의 근대식 정미소 '타운센드 정미소'에서 찧은 쌀을 이렇게 묘사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정미소의 역사를 담은 '정미소: 낟알에서 흰쌀까지' 조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쌀뿐만 아니라 보리, 밀, 수수, 메밀 등 잡곡을 함께 취급하거나 떡을 만드는 방앗간 겸용 정미소도 적지 않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7년 전국 2만5000곳 달해
식생활 서구화로 점차 자취 감춰
일본 언론인 가세 와사부로는 한국 최초의 근대식 정미소 ‘타운센드 정미소’에서 찧은 쌀을 이렇게 묘사했다. 1892년 설립된 이 정미소는 증기 동력으로 작동하는 60마력짜리 엔진과 독일제 정미기 4대를 보유했다. 기계 한 대를 12시간 돌리면 현미 16석과 백미 8석을 얻을 수 있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정미소의 역사를 담은 ‘정미소: 낟알에서 흰쌀까지’ 조사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도정 방법과 변천, 근대 이후 등장한 정미소의 정착 과정 등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미소는 19세기 말 일제가 값싼 조선미를 도정해 일본 현지로 수출하기 위해 도입됐다. 처음에는 인천, 전북 군산 등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생겼지만 점차 전국으로 확대됐다. 마을이나 조합 단위로 돈을 모아 공동정미소를 설립할 정도로 필수시설이 되면서 1977년 정미소 수는 전국에 약 2만5000개에 달했다. 쌀뿐만 아니라 보리, 밀, 수수, 메밀 등 잡곡을 함께 취급하거나 떡을 만드는 방앗간 겸용 정미소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양곡의 생산, 가공, 판매 등이 일괄적으로 이뤄지는 ‘미곡종합처리장’이 생기면서 도정만 담당하는 정미소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996년 미곡종합처리장 수가 전국에 220여 곳으로 늘면서 정미소는 그해 1만1457곳으로 줄었다. 식생활의 서구화로 쌀 수요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김옥천 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과거에는 정미소를 하면 잘 먹고 잘살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서 종사자 수가 많았지만 정미업이 점차 사양산업이 되면서 정미소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며 “한국인의 ‘밥 문화’를 책임져 온 정미소의 원형에 대한 기록은 보존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보고서에는 옛 정미소 형태를 유지하면서 현재까지도 운영되는 사례와 ‘쌀 편집숍’ 등 변화를 모색하는 사례 등도 담겼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상질문지 없이 KBS 대담 나선 尹 “질문 마다하지 않을 것”
- [정용관 칼럼]이재명의 ‘주판알 정치’에 휘둘리는 47석 비례제
- 이낙연·민주 탈당파 ‘새로운 미래’ 창당…李·김종민 공동대표
- 與김경율, 총선 불출마 선언…“승리 위해 비대위원 역할에 충실”
- 이재명 안아주고 상처 살핀 文 “野, 상생의 정치 앞장서야”
- [횡설수설/김재영]金사과 金딸기
- 얼굴이 쉽게 붉어지고 화장실 가는 횟수가 늘었다
- 4월 총선 바로미터 서울 민심은 초접전
- ‘의료 쇼핑’ 환자 부담금 인상… 건보재정 ‘구멍’ 더 틀어막아야[사설]
- 與, 안철수·나경원·추경호 등 44명 ‘나홀로’ 공천 신청…총 849명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