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앱인데…’ 카톡, 유튜브에 1위 내줘

김은성 기자 2024. 2. 4. 21: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쇼츠 강화’ 유튜브로 쏠린 30대 ‘변심’에 활성이용자 수 순위 변화

지난해 12월 국내 사용량 1위 모바일 플랫폼이 카카오톡에서 구글의 유튜브로 바뀌었다. 30대 이용자가 모바일을 통해 짧은 영상인 쇼츠를 강화한 유튜브로 대거 유입되면서 이런 변화가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4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유튜브는 지난해 12월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 4565만명으로 전체 1위로 올라섰다. MAU는 한 달에 1번 이상 서비스를 쓴 이용자 수를 뜻한다.

2020년 5월 스마트폰 양대 운영체제(OS)인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를 통합한 모바일인덱스 데이터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매달 MAU 1위를 차지해온 카톡은 지난해 12월 4554만명에 그쳐 처음으로 2위로 내려갔다.

지난달 MAU는 유튜브(4547만명)와 카톡(4525만명)의 격차가 22만명으로, 지난해 12월(11만명)의 2배로 벌어졌다.

애초 지난해 12월 MAU는 카톡이 유튜브를 근소하게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iOS 데이터 추정치 생성 방법에 대한 업데이트로 수치와 순위가 바뀌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iOS 사용량 학습·추정 기술을 개선한 결과로, 지표 개선과 바뀌는 모바일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됐다”고 설명했다.

국내 모바일 플랫폼 1위로 등극한 유튜브는 탄탄한 이용자층을 기반으로 가장 대중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간결한 편집 방식과 함께 최근에는 쇼츠가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 출생)를 비롯한 다양한 이용자들을 끌어들이는 주요인으로 평가받는다.

MAU 1위가 역전된 배경은 30대 사용자의 모바일 이용 패턴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연령대별 MAU는 10대 이하와 20대에서는 유튜브가, 30대 이상에서는 카톡이 1위로 조사됐다.

그러나 9월부터는 5개월 연속 유튜브가 30대에서 MAU 1위를 차지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