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신선식품 선물, ‘드라이아이스’ 동상 주의보

강석봉 기자 2024. 2. 4. 18: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제공|클립아트코리아



주부 A씨는 지난 추석 명절 응급실을 찾았던 생각을 하면 아직도 아찔하다.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으로부터 신선식품을 택배로 받아 확인하던 중 선도 유지를 위해 함께 배송된 드라이아이스를 미처 발견하지 못해 만지면서 동상을 입어 통증이 심했기 때문이다. 부주의로 인해 명절 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그 날 이후부터 A씨는 배송되는 신선식품을 확인할 때는 항상 조심하는 버릇이 생겼다.

명절 선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생활용품부터 신선식품까지 오늘 주문하면 내일 새벽에 배송되는 편리한 서비스가 일상화되었다. 그리고 A씨와 마찬가지로 배송된 물건을 뜯어 옮기는 과정 혹은 확인하던 중에 제품 사이에 있던 드라이아이스와 피부가 접촉해 따끔거리는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산화탄소를 냉각한 드라이아이스는 영하 78도의 고체 이산화탄소다. 고체 상태에서 녹을 때 액체가 아닌 기체로 바로 변화하기 때문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급격히 낮춘다.

사진제공|클립아트코리아



드라이아이스는 매우 차갑고 기체화 되는 특징 때문에 신선식품 혹은 아이스크림 배달에 흔히 사용된다. 얼음팩보다 냉기 보존이 긴 편이고 얼음의 경우 녹으면 액체가 되면서 누수 등으로 제품이 젖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드라이아이스를 선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드라이아이스를 맨손으로 만지거나 피부와 직접적으로 닿게 되면 피부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A씨의 경우처럼 동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으로 구분한다. 이중 가장 바깥쪽의 표면을 덮고 있는 표피층이 손상되면 피부가 하얗게 되거나 무감각 또는 통증이 발생한다. 진피층까지 손상된 경우 부종이나 물집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해 진피층 전체와 혈관까지 손상된 경우 피부가 검게 변하고 괴사에 이를 수 있다.

대동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배병관 과장(응급의학과 전문의)은 “우리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낮은 온도의 물질인 드라이아이스는 신선 식품 배송을 받거나 아이스크림을 포장하는 등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만큼 A씨처럼 부주의로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라며 “우리 피부에는 감각을 느끼는 감각점이 있는데 너무 차갑거나 뜨거우면 신경이 통각을 느껴 화상과 비슷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간혹 드라이아이스를 만져 발생한 증상을 화상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라고 말했다.

드라이아이스로 인해 동상을 입었다면 39∼42°C정도의 따뜻한 물에 약 30분 정도 담가 체온을 높이도록 하며 상처 부위를 깨끗한 거즈 등으로 보호한 뒤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물집을 터트리거나 차가운 걸 만졌다는 이유로 뜨거운 물이나 핫팩, 드라이기 등을 이용해 피부에 강한 열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삼가야 한다.

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아이스를 맨손으로 잡는 등 직접적으로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드라이아이스를 제거해할 경우에는 포장지를 이용하거나 두꺼운 장갑을 착용하고 집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저온에 쉽게 손상이 갈 수 있는 곳에 드라이아이스를 놓아두면 표면이 상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드라이아이스는 기체화되면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산소 비율을 저하시켜 드물지만 질식의 위험도 있다. 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오는 연기는 마시지 않도록 하며 밀폐되지 않고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서 자연 기화되도록 두는 것이 좋다. 드라이아이스를 빨리 없애기 위해 찬물을 붓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급하게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면서 포장재가 터지거나 파편이 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대동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배병관 과장(응급의학과 전문의)



강석봉 기자 ksb@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