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개 종목 5년간 PBR 1 밑돌아 … 코스피 '재평가 모멘텀'

최희석 기자(achilleus@mk.co.kr) 2024. 2. 4.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총 상위 300개 종목 분석
KB금융 0.53 신한지주 0.48배
금융지주·증권 관련 종목 다수
유동성 부족·높은 상속세율 탓
현대차·GS 등 지주사도 낮아
K증시 대표 종목들 대거 포함
18%가 장부가치 평가 못 받아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300위 이내 종목 가운데 54개 종목이 최근 5년 동안 단 한 번도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를 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에는 현대차, 포스코홀딩스, KB금융, LG디스플레이, 삼성생명처럼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종목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거꾸로 말해 이들 대표 기업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는다면 한국 증시가 재도약하는 모멘텀이 마련될 수 있다는 뜻이다.

4일 매일경제가 NH투자증권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한국 주요 기업들이 제대로 기업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지난 2일 하루에 9% 이상 주가가 오른 현대차는 시총이 48조원에 그쳐, 장부가치 대비로는 여전히 56%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PBR이 0.56배에 그쳤다는 얘기다. 마찬가지로 포스코홀딩스 시총도 37조9724억원으로 PBR이 0.65배에 불과했다.

지난 5년은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규모의 유동성이 공급돼 2021년 6월 25일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인 3316.08을 기록한 시기를 포함한다.

이 기간을 포함했음에도 시총 기준 상위 300개 종목 가운데 18%나 되는 54개 종목이 장부가치만큼 평가받지 못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54개 종목에는 그야말로 한국을 대표하는 종목이 수두룩하다.

먼저 금융지주 또는 금융 관련 종목이 많이 눈에 띄었다. KB금융(PBR 0.53배), 신한지주(0.48배), 하나금융지주(0.45배), 우리금융지주(0.37배), 기업은행(0.36배), BNK금융지주(0.26배)가 은행권 종목의 저평가 수준을 보여줬다.

이어 만년 저평가 종목인 삼성생명(0.63배), 미래에셋증권(0.4배), 삼성카드(0.47배), NH투자증권(0.52배), 삼성증권(0.58배), 한화생명(0.39배)도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지주회사 또는 사실상 지주회사 지위에 있는 회사도 많았다. 현대차·포스코홀딩스는 물론이고 HD현대(0.66배), GS(0.38배), 롯데지주(0.31배), 신세계(0.43배), 한국앤컴퍼니(0.46배), 영원무역홀딩스(0.49배), 하림지주(0.29배) 같은 지주사 주가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익 대비 얼마나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주가수익비율(PER)로 살펴봐도 지주사들은 저조한 수준에서 맴돌고 있다. 주요 그룹 지주사의 지난해 추정 PER은 GS 2.67배, 현대차 3.99배, 하림지주 6.69배, 신세계 6.06배, 한국앤컴퍼니 7.97배로 확인된다. PER은 보통 10 아래면 저평가 상태에 있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지주사 저평가 원인에 대해 거래 유동성 부족을 1순위로 꼽았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거래 유동성이 부족하면 라덕연 주가조작 사태 때와 같이 통정매매를 하지 않는 한 주가가 잘 오르지 않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높은 상속세율도 지주사 저평가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최소한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 중 일부는 높은 상속세 때문에 대주주가 지주사 주가 상승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믿는 게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믿음 때문에 실제 주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지주회사 주가가 저평가되는 실태를 시장이 여러 차례 목도한 사실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김동양 NH투자증권 기업분석부 연구위원은 "지주회사 체제로 변경될 때 지주회사의 주식이 필요 없는 소액주주들이 지주회사의 주식을 매물로 내놓으면서 매도 물량이 많아지고 주가도 실제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 틈을 노려 대주주는 지주회사 지분을 값싸게 취득해 지배력을 강화하기도 했다.

실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16~2022년 인적분할로 지주회사 체제를 이룬 사례 33건 가운데 29건이 공개매수를 진행했다. 최대주주의 지주회사 평균 실질 지분율은 분할 전 38%에서 분할 후 56.5%로 18.5%포인트 올랐다.

[최희석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