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엔 매장 빌려주고, 배달도 뛴다···벼랑 끝 사장님의 고육책

박시진 기자 2024. 2. 4. 1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소비 위축에 '자영업 新풍속도'
임대료·수수료 부담에 고군분투
사업명 여러개 등록 노출 늘리고
공유주방 들어가 배달만 하기도
소상공인 체감경기 2년래 최저
올들어 벌써 가게 91곳 문 닫아
"현실적 정부 지원책 필요" 지적
[서울경제]

“낮에만 가게 빌려드립니다. 주방, 식기 등 마음대로 쓰셔도 돼요.”

서울 영등포에서 호프집을 운영하는 A 씨는 백반 장사를 하는 B 씨에게 점심 시간에만 가게를 빌려주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저녁이 있는 삶’을 추구하면서 퇴근 후 술을 마시는 직장인들이 줄어 매출이 급감하자 꺼내든 고육책이다. A 씨는 엔데믹 이후 연말 연초 회식 수요가 늘면서 저녁 시간대 ‘피크타임’을 기대했지만 소비심리 위축의 영향으로 손님이 뚝 끊기면서 매출액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는 “당장 호프집 문을 닫을 수는 없는 노릇인데 점심 시간에는 아예 손님이 없으니 차라리 낮에만 다른 사업을 하려는 사람에게 가게를 빌려주고 임대료 부담이라도 줄여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불황이 깊어지면서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살기도 어려워진 자영업자들이 갖은 아이디어를 짜내며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같은 공간을 나눠 쓰거나 사업을 쪼개 배달 플랫폼에 여러 곳으로 등록하는 등 소비자와 접점을 늘리는 방식이다.

음식점을 하다가 가게를 정리하고 공유 주방에 들어가 배달만 하는 자영업자들도 늘었다. 임대료를 내고 가게를 운영하는 것보다 공유 주방 이용료를 부담하는 것이 비용 부담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또 배달 플랫폼에 여러 음식점 이름을 등록해 노출을 늘리는 경우도 있다. 배달 앱에 접속한 소비자가 어느 음식점에서 주문을 하더라도 하나의 가게에서 주문을 받아 음식을 만들어 배달하는 구조다. 광고비 부담은 있지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노출을 늘려 배달 건수를 확보하려는 시도인 셈이다.

또 일부 음식점 사장들은 본인이 직접 배달 라이더로 등록해 배달을 나가 수수료를 한 푼이라도 아끼고 있다. 배달 플랫폼의 수수료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지 않으면 가게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자영업자 C 씨는 “물가가 오르니 고객들이 외식비부터 줄이려고 한다”며 “살아남기 위해서는 비용을 한 푼이라도 아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경기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음식점 업종 소상공인들은 당초 올해 1월 경기체감지수(BSI)가 66.0일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로 체감한 지수는 38.4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2월 소상공인 체감 BSI가 37.5를 기록한 후 2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BSI는 사업장의 실적과 계획 등에 대한 주관적 의견을 수치화해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이면 경기 실적 호전을, 100 미만이면 경기 실적 악화를 의미한다.

엔데믹 이후 외식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에 지난해 10월 BSI 전망치는 93.2까지 올랐지만 이후 88.5, 77.1 등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체감 BSI 역시 지난해 9월 62.9로 집계된 후 62.0, 57.2, 46.4로 하락 추세다. 그만큼 음식점 자영업의 경기가 좋지 않다는 의미다.

식당을 창업했다가 폐업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서울특별시 내에 위치한 외식 업종의 폐업 건수는 지난해 1분기 870건에서 2분기 920건, 3분기 938건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4분기에 889건으로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올해 들어서도 이달 2일까지 91개 가게가 폐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서는 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를 돕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올 초 당정은 ‘경제정책방향 당정협의회’를 열고 1분기 영세 소상공인 126만 명을 대상으로 업체당 20만 원씩 총 2520억 원 규모의 전기요금 감면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2022년부터 전기료가 다섯 차례 올라 인상률이 40%에 달하는 등 민생 경제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대출 연체율 증가, 수익률 악화 등으로 한계 상황에 다다른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보다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시진 기자 see1205@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