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김헌영 강원대 총장, “지역 내 유일한 거점대학으로 혁신 가속”
“한국이 직면한 출산율 하락과 인구구조 변화는 대학에게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지역대학 경쟁력은 지역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강원 1도 1국립대학'은 지역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학의 기능을 사회, 경제, 문화, 복지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는 전략이라고 소개했다.
강원대는 작년 글로컬 30대학에 선정돼 강릉원주대와 통합으로 춘천, 원주, 강릉, 삼척 4개 캠퍼스를 보유한 강원도 내 유일한 거점국립대학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여기에 강원대가 보유한 우수한 창업화적 제도와 강원권 창업중심대학사업, 대학창업펀드, 강소연구개발특구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4개 캠퍼스에서 창업학과 운영, 우수 창업 교과목 공유, 캠퍼스 이동식 순회교육, 대학 보유 청색기술 연계 아이디어 발굴, 해외연수 등을 통해 글로컬 창업인재 양성 및 창업문화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청색기술이란 자연 생태계를 모방, 응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김 총장은 “구체적으로 'KNU 창업진흥원'을 설립해 통합대학 전체의 창업지원을 총괄하고 청색기술센터를 설치해 사업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지역 산업체와 대학이 함께 청색기술을 연계해 학생, 교수, 기업의 산·학·연 공동 창업을 실현하겠다”고 전했다.
지역 발전에 대해 김 총장은 “대학은 단순히 교육의 장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중요한 인적, 물적, 문화적 자산이며, 지역 경제와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다”며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에 일조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0.7명대로 세계 최저 수준이다. 저출산, 인구 고령화, 생산 연령 인구 감소 문제가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지방의 청년 인구가 수도권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역사회는 더 큰 위기에 직면했다는 것이 김 총장의 진단이다.
김 총장은 “현재 380여개 대학 중 약 70%가 지방에 있다”며 “학령인구 감소 등을 이유로 대학 구조조정을 촉구하는 논의에는 신중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 대학들은 이미 교육과 연구 인프라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장은 평소 지역 강소 대학 발전을 위해 많은 제언과 활동을 해왔다. 그는 대학 자체적 혁신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재정 여건 개선과 규제 완화를 비롯한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 총장은 “'고등·평생교육 특별회계법'의 지원을 위한 법률 개정과 단계적 재정투자 전략 수립해 대학의 재정적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대학은 첨단 산업 분야의 교육과 연구에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비전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유연한 학사체계 구축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김 총장은 “강원대의 혁신교육은 'T형 융합인재' 양성이 목표”라며 “이는 학문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산업에 대한 이해와 협력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미 2018년부터 모집단위를 축소하면서 '자유전공학부'와 '미래융합가상학과'를 도입해 학과·전공 간 경계가 없는 유연한 학사 생태계를 구축했다. 학생에게는 진로 선택과 학문적 탐색의 폭을 넓혀주고, 교수에게는 타 학문·산업 분야로의 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 성과를 거뒀다.
김 총장은 “'강원 1도 1국립대학' 추진을 계기로 '미래융합가상학과'와 '마이크로디그리' 등 융합전공을 각각 50개, 30개 이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통합 강원대의 '공유대학' 플랫폼을 타 지역대학은 물론 초·중등교육과 평생교육 전체로 확대해 국가거점국립대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계획을 전했다.
아울러 정부에는 대학의 현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대학 역량과 자율성을 강화하며, 산업과 사회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과 학사구조 개편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요청했다.
김 총장은 “캠퍼스 외부 시설에 대한 이동수업 운영이나 교원 인사와 재정 운용에 재량권을 확대하고, 학위과정 편성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대학 행정 전반에 대한 자율성을 강화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미네르바 스쿨'이나 프랑스의 '에꼴42' 같은 혁신 대학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스피100 기후성과] 포스코인터, 탄소집약도 52% 낮춰 1위
- 전기차 출고 1개월, 하이브리드차는 최장 20개월 대기
- 글로벌 빅테크, 자체 'AI 반도체' 개발 경쟁 치열
- 국민의힘 “지역 의대 신설, 지방이전 중소기업에 상속세 면제”
- 6배 커진 제로 트러스트 실증 사업…“올핸 '저변 확대' 집중”
- 美, EU 이어 中 전기차 규제 가능성…中매체 “반시장적 행태”
- 여야, '공천룰' 재정비하고 후보 심사 착수…현역교체 비중 관심
- 삼성웰스토리 외식 식자재유통 사업 연평균 35% 급성장
- [코스피100 기후성과]포스코인터·현대차 등 “매출 늘리고도 탄소배출 낮췄다”
- [4·10 출사표] 허용범 전 국회도서관장 “오로지 동대문… 정치 변화 이끌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