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연간 100억달러 문턱서 수출 성장세 꺾여

차대운 2024. 2. 4.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수출 8년만에 감소…시황부진·해외생산 등 겹쳐
스마트폰처럼 세계시장 점유율 높아도 '한국산' 비중 감소할듯
배터리 산업에 쏠린 눈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K-배터리 산업이 연간 '100억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수출 성장세가 꺾이는 듯한 모습이다.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른 배터리 수요 감소와 함께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유럽, 미국 등으로의 생산 거점 이전 등이 'K-배터리 수출 둔화'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액은 98억3천만달러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연간 이차전지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15년 이후 8년 만이다.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은 2017년 50억달러를 처음 돌파한 뒤 빠르게 증가해 2022년 99억8천만달러를 기록, 100억달러에 육박했다.

그렇지만 작년 수출 감소로 100억달러 관문을 넘지 못하고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다.

올해 들어 이차전지 수출 약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1월 이차전지 수출은 5억9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2% 감소했다.

정부가 분류하는 15대 주력 수출품 중 반도체를 비롯한 13개 품목이 일제히 상승하며 전반적 수출 회복세가 뚜렷했지만, 무선통신 기기(-14.2%)와 더불어 이차전지만 수출이 감소했다.

이차전지 수출이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아졌다.

이 비중은 작년 1.6%로 가전(1.3%)보다 높았지만, 지난 1월에는 1.1%로 떨어져 가전(1.2%)보다 낮아졌다.

수출 증가세가 꺾인 가운데 중국산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수입은 빠르게 늘어 이차전지 무역수지 흑자도 줄고 있다. '배터리 순수출국'으로서의 위상 역시 점차 약해지는 모습이다.

지난 2019년 58억3천만달러로 정점에 달한 이차전지 무역수지 흑자는 작년 9억달러로 감소했다.

이차전지 수출 약화에는 단기적으로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전기차 수요 둔화라는 경기 요인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3사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등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북미, 유럽 등 해외 생산 거점 가동을 본격화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국산 이차전지'의 수출 증가세가 꺾이는 구조적 요인까지 발생한 셈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사 얼티엄셀즈를 세워 2022년 말부터 4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미국 오하이오 1공장을 가동 중인 것이 대표적 사례다.

LG에너지솔루션 GM 합작법인 1공장 (오하이오주 얼티엄셀즈) [LG에너지솔루션 제공]

해외 공장 가동 본격화로 현지에서 생산된 물량은 곧장 고객사에 공급된다. 이는 곧 국내 수출 물량 상당 부분을 대체한다는 뜻이다.

공급 과잉에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공격적 해외 마케팅에 나서고 있는 CATL 등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 격화도 수출에 부분적 영향을 주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1∼11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시장에서 한국 배터리 3사의 합산 시장 점유율은 48.5%로 전년보다 5.4% 하락했다. 반면 중국 최대 배터리사 CATL의 시장 점유율은 27.7%로 전년의 22.1%에서 5%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실제로 작년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이 1.7% 감소한 가운데 한·중 배터리사의 '격전장'인 유럽으로의 수출은 25.1% 감소했다.

과거 스마트폰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스마트폰 생산 중심이 해외로 옮겨지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더라도 한국의 관련 제품 수출은 정점을 찍고 하락했었다.

한국의 무선통신 기기 수출액은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힘입어 2000년대 들어 비약적으로 상승해 2007년 305억달러에 달했지만, 삼성전자 등 주요 업체의 생산 거점이 베트남 등 해외로 옮겨지면서 작년 155억달러까지 감소했다.

다만 배터리 시장의 장기 성장 추세가 유효하고, 해외 생산이 확대되더라도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 수출이 대신 느는 등 국내 산업 파급 및 일자리 창출 효과가 여전히 큰 만큼 격화하는 한중 경쟁 속에서 혁신을 통한 이차전지 기술 우위 유지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최근 펴낸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주요국 탄소중립 기조 속에서 전기차 시장이 확대돼 이차전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라며 "시장이 고도화됨에 따라 고기능 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표] 연간 이차전지 수출액 추이

(단위 : 백만달러, %)

※ 자료 : 한국무역협회

ch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