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종호의 쏙쏙통계]수도권 순유입에도 '인천 계양' 인구 줄어든 사연
전국 이동자 49년만에 최저···고령화·부동산 침체 영향 커
20대도 이동률 3년 째 감소···일자리 부족에 이동수 줄어
지난해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49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고령화에 따른 이동수요 감소와 맞물려 이동 성향이 높은 젊은층까지 일자리가 부족하자 이동 유인까지 줄어들어 이동자 수와 이동률 모두 약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것입니다. 말 그대로 고령화와 저성장 심화에 인구가 움직이지도 않는 축소사회가 되어 가는 단면을 보여준 셈입니다.
통계청의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는 612만 90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0.4%(2만 3000명)감소했습니다. 전입신고 중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이동한 사람이 대상입니다. 이 같은 수치는 1974년(530만 명)이래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전체 인구가 5171만 명으로, 1974년(3469만 명)보다 1700만 명 가량이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인구 이동 정체는 더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구 100만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 이동률 역시 지난해 12%로 1972년(11.0%)이후 5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지난해 기록을 이어갔습니다. 이마저도 소수점 아래 단위에서 줄어1972년(11.0%)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입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20대 인구는 계속 줄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다 보니 이동자 규모 자체도 감소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인구 고령화 현상이 저조한 인구이동률의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 2030대 인구는 줄어드는 데 반해 상대적으로 기동력이 약한 60세 이상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60대 연령층의 이동률은 7.0%로 20대(22.8%) 30대(20.1%)보다 크게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 침체도 국내 이동 감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실제 통계청은 부동산 시장 침체를 국내 이동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봤습니다. 조사 결과 주택을 이유로 이동한 사람은 2022년 211만 6000명에서 2023년에는 208만 6000명으로 3만 명이 감소했습니다. 주택을 전입 이유로 든 이동자 비중도 34.0%로 1년전(34.4%)에서 0.4%포인트 줄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 5415건으로 10월(4만7799건)보다 5% 줄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고령화에 주택가격까지 떨어지니 움직일래야 움직일 수도 없는 상태가 된 것입니다.
인구이동이 없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옮기는 이들이 줄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특히 20대의 이동률이 3년째 줄고 있습니다. 취업 등의 이유로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연령대 조차 움직이지 않는 것입니다. 임 과장은 “20대 인구와 함께 취업자 수도 함께 줄어들다 보니 이동자 수도 동반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률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143만 3000명이 이동해 전년보다 4.8%감소했습니다. 결국 일자리가 문제입니다. 통계청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는 2841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 7000명(1.2%)증가해 15세 이상 고용률이 62.6%로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하지만 20대 초반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줄어 청년층(15∼29세) 고용률(46.5%)은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하락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영·호남에서 수도·중부권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계속됐습니다. 2017년부터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은 추세를 유지하는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는 지난해에도 4만 7000명이 순유입돼 전년보다 순유입이 1만 명 넘게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다시 중부권으로 3000명 가량이 순유출됐습니다. 중부권은 수도권 뿐만 아니라 호남권(5000명)과 영남권(9000명)에서도 인구를 빨아들인 반면 영남에선 4만 7000명이, 호남에선 1만 5000명이 순유출 됐습니다. 충남·북의 순유입은 직업이, 경기와 인천은 주택이 가장 큰 이유였고, 경남·대구 등은 직업, 서울·대전은 주택 문제가 순유출의 사유였습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수도권 인구가 순유입되는 상황에서도 경기 광명(-2.7%), 인천 계양(-2.8%), 인천 남동(-2.5%), 경기 동두천(-2.7%), 경기 군포(-1.9%)등의 인구는 순유출된 현상입니다. 특히 인천은 시도 중 인구 순유입률이 가장 높았지만 인천 계양구에서는 인구 순유출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재개발과 재건축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신도시가 완성되거나 재개발·재건축 이후에는 다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습니다.
※‘쏙쏙통계’는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의 ‘속’ 사정과 숫자 너머의 이야기를 ‘쏙쏙’ 알기 쉽게 전달하는 코너입니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예담 작업실서 '불법 촬영'? 이서한 '남자 친구끼리의 장난, 실수로 공개'
- '한국인 등 관광객은 돈 더 내야'…日뷔페 '이중 가격제' 논란
- '박지성 절친' 에브라, 유년시절 '성학대 피해' 고백…'난 희생자 아닌 생존자'
- 하버드 출신 ‘미코 眞’ 금나나, 7년전 30세 연상 건설업계 회장과 극비 결혼
- 리사, 재벌 2세 연인과 파리 미술관 방문 후 SNS 업로드…사실상 열애 인증
- 뚱뚱하다고 6세 아들 ‘러닝머신’ 뛰게한 父…빠른 속도에 넘어진 아들 그만
- “동창생 폭행으로 딸이 식물인간 됐는데”…가해자 형량 보니 고작
- 장윤정, '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았다…3년 만에 70억 시세차익
- 6m 높이서 뛰어내린 외국인 여성…주민들이 이불로 받아냈다
- 중국 얼마나 고압적이기에…MZ세대 '월급도 여행 사진도 꽁꽁 숨기고 나만 알래요'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