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작가들로… 그것도 시장성 불투명한 작가로 새해 첫 전시 여는 외국 갤러리

최지희 2024. 2. 2. 15: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한남동 타데우스로팍
한국작가 6인 그룹전
‘노스탤직스 온 리얼리티’
타데우스로팍 서울 전시 전경.

2021년 10월, 런던 파리 잘츠부르크에 이어 서울 한남동에 둥지를 튼 오스트리아 갤러리 타데우스로팍. 개관 4년째를 맞는 갤러리의 올해 첫 전시 ‘노스탤직스 온 리얼리티’의 베일이 벗겨지자 ‘의외’라는 반응이 나왔다. 

해외 유명 작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갤러리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한국 작가들을 소개하는 그룹전을 첫 전시로 선택했기 때문이다. 전시회도 자체 기획 방식 대신 2018년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았던 ‘비엔날레 전문’ 김성우 큐레이터를 초청해 꾸몄다. 타데우스로팍은 작가 선정과 작품 선정을 모두 김 큐레이터의 손에 맡겼다.

김 큐레이터가 조명하는 작가는 이해민선, 권용주, 남화연, 제시 천, 양유연, 정유진 등 모두 6명. 지난해 3명보다 규모가 커졌다. 올해 전시회에 참가하는 작가들은 1977년생부터 1995년생까지 연령대가 다양하지만 공통점이 있다. 미술관과 비엔날레에서는 자주 얼굴을 비추지만, 미술품 거래 시장에서는 다소 보기 어려웠다. 수익을 생각해야 하는 갤러리가 시장성이 검증되지 않은 작가들을 모아서 소개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김성우 큐레이터는 “시장 논리를 따르는 대신 현대미술에 새로운 담론을 제시할 얼굴들을 보여주고자 전시를 꾸몄다”고 작가 선정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제시 천, scores for unlanguaging

전시를 관통하는 주제는 ‘시간’이다. 6인의 작가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바로 만날 수 있는 작품은 제시 천의 회화다. 그는 ‘악보’와 ‘콘크리트’ 두 가지 시리즈를 들고 나왔다. ‘악보’ 시리즈는 작가가 직접 무당을 찾아 부적을 쓰는 법을 배우고 그것을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서구권에서 어린 시절을 전부 보낸 작가는 동양의 부적에 시간을 관통하는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

전시장 한가운데엔 1995년생의 ‘젊은 작가’ 정유진의 설치작이 나왔다. 정 작가는 미디어와 대중문화에서 ‘재앙’을 소비하는 법에 관심을 기울였고, 이를 설치작품으로 녹여냈다. 작품은 가까이 다가가면 마치 관객을 찌를 듯 거친 느낌을 내뿜는다.

이혜민선은 이번 전시를 위해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두 가지 작업방식으로 만든 작품을 모두 선보였다. 인화지 위에 페인트칠을 한 회화 작품이 그 첫번째다. 물이 안 녹아드는 인화지의 특성상 작업이 어렵고 시간도 오래 소요되는 작업이다. 이혜민선은 작업을 하는 고통과 인내의 과정 또한 작품의 일부라고 여기기 때문에 인화지 작업을 고집한다고.

이해민선, Central Station 중앙역

여기에 사진을 화학약품으로 녹인 후 그 위에 다시 색을 칠한 작품들도 걸었다. 특히 ’중앙역’이라는 이름이 붙은 작품은 사진이 녹아 원본 사진이 기차역을 찍은 장면이라는 것을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제목을 읽지 않고 작품을 감상하면 하나의 돌산을 그린 작품처럼 느껴진다.

양유연도 종이에 고집을 기울이는 작가다. 오로지 한지의 종류 중 하나인 장지만 사용해 페인팅 작업을 펼친다. 대부분의 작품은 ‘불안의 시대’를 조명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내면을 극적으로 확대해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는 그의 과거 작업과 현대 작업이 함께 소개돼 작업의 변천사를 함께 엿볼 수 있다. 과거에는 주로 어두운 색감만을 사용한 작품을 선보였다면 최근 작품들은 다양한 색감의 대비와 빛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

권용주, SlingBelt&Others

권용주는 일상물을 그대로 가져와 작품으로 만드는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돌 위에 식물을 키우는 취미인 ‘석부작’을 새롭게 해석해 돌 대신 시멘트 덩어리를 얹은 후 그 위에 식물 대신 빗자루나 악보 등 종이를 올렸다. 인공과 자연의 콜라보레이션을 표현했다. 공사장 밧줄을 그대로 가져온 후 그 위에 석고 엎어서 작품으로 승화한 대형 설치작품은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다. 일상 속 노동 현장을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남화연은 이번 전시를 위해 ’시간’에 집중한 신작들을 들고 나왔다. 동판을 사용한 작품은 그 재료가 낡고 부식되며 시간의 흐름이 그대로 드러난다. 7분 길이의 영상도 함께 선보인다. 인간이 과일을 까고, 먹고, 그 쓰레기가 버려지는 과정을 담아 인간의 일상 속 시간의 흐름을 조명했다.

새로운 얼굴들이 선보이는 작품인 만큼 대부분의 작업들이 참신하다. 고민을 거듭한 작업과정의 노고가 작품 안에 그대로 드러난다. 전시는 3월 9일까지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