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에 캠핑카박기' 봉이 김선달이 따로 없네 [분석+]

김필수 교수, 김정덕 기자 2024. 2. 2. 14: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마켓분석
팬데믹 국면서 숨통 틔어준 캠핑
텐트와 캠핑카 알박기 탓에 눈쌀
지자체 캠페인과 처벌 강화 필요
지역끼리 블랙리스트 공유도 방법

한때 '텐트 알박기'가 큰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이후 일부 지자체는 '텐트 알박기'를 제재할 조례를 만들어 단속과 철거에 나서고 있다. 그러자 이번엔 '캠핑카 알박기'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캠핑하기 좋은 장소에 캠핑카를 상시로 대놓는 걸 꼬집은 말인데,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도 민폐임에 틀림없다.

캠핑산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덩달아 다양한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사진=뉴시스]

불과 1년 전만 해도 우리는 "마스크를 쓰지 않는 날이 다시 올 수 있을까" 하는 걱정 속에 살았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코로나19 팬데믹은 풀렸고, 엔데믹(endemicㆍ풍토병) 시대로 접어들었다.

2020년부터 3년간 이어진 코로나 시대는 우리 삶을 많이 바꿔놨다. 재택근무나 화상회의를 비롯한 기업문화의 변화, 인터넷을 토대로 한 사람들의 소비 습관 변화, 손씻기나 홈트레이닝 등 생활 습관의 변화가 대표적이다.

여행의 방식도 크게 바뀌었다. 과거엔 금전적ㆍ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비행기를 타고 어딘가를 다녀오는 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 시대에 그런 여행은 허락되지 않았다. 덕분에 반대 급부를 누린 산업이 있는데 바로 캠핑산업이다. 당시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면서 사람들의 스트레스도 크게 증가했는데, 캠핑은 그 돌파구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과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협회중앙회 등의 통계를 종합하면 2019년 캠핑산업 규모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조원대에서 2022년 7조원대로 두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캠핑 인구는 538만명에서 700만명으로 30.1% 증가했고, 전국의 야영장 수는 2367개에서 3280개로 38.6% 늘었다.

과거엔 무거운 짐을 한가득 둘러메고 다녀야 했지만, 지금은 자동차를 이용해 잘 정돈된 야영장을 찾아가면 그만이다. 이를 시람들은 '오토캠핑'이라 일컫는다. 물론 오토캠핑은 코로나19 시대 이전에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으면 오토캠핑 산업이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득 증가와 함께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던 산업이란 얘기다.

그러다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많은 사람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개척한 장소로 조용히 다녀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까지 저렴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이나 레크리에이션 차량(RV)도 덩달아 인기를 끌었다. 픽업트럭 시장이 넓어진 것도 바로 이 시기다. 레저활동엔 세단보단 이런 차가 어울리는 게 사실이다. 차에 장착해서 이용하는 차박용 텐트도 다양해졌다.

'캠핑카 알박기'는 지자체 차원에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사진=뉴시스]

캠핑카 시장의 성장도 빼놓을 수 없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9년 2368대였던 캠핑카 등록대수는 2022년 2550대로 증가했다. 캠핑 트레일러까지 포함하면 6000대가 넘는다. 일반 차량을 개조한 간단한 캠핑카에서부터 차 안에서 숙식과 조리, 샤워까지 모든 게 가능한 캠핑카에 이르기까지 종류도 다양해졌다.

사실 초기 캠핑카 시장은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에서 출시한 스포츠유틸리티 트럭(SUT)이 중심이었다가 시장이 넓어지면서 수입차가 가세한 형국이다. 캠핑카를 직접 구입해 사용하는 마니아들도 있지만 1년 내내 이용하는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구입해서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며칠만 빌려 쓰는 이들도 적지 않다.

문제는 이런 캠핑카로 '알박기'를 하는 이들이 있다는 거다. '캠핑카 알박기'란 주차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캠핑하기 좋은 장소에 캠핑카나 캠핑 트레일러를 상시로 대놓고, 필요할 때마다 와서 캠핑을 즐기는 걸 말한다.

좋은 캠핑 장소를 무단 점거해 혼자서만 즐기겠다는 행태는 지역 주민은 물론, 지역에 놀러 오는 관광객에게까지 민폐다.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미관을 해치기도 한다. 동해안 공용주차장들이 대표적인 피해 지역이다.

사실 '캠핑카 알박기'에 앞서 '텐트 알박기'가 먼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 바 있다. 그러자 요즘 일부 지자체는 휴양지에 장기간 방치된 텐트를 철거할 수 있는 규정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철거하고 있다. 보다 못한 주민들은 텐트를 직접 찢어 없애기도 한다.

그런데 '캠핑카 알박기'는 아직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공용주차장에 떡하니 버티고 있으니 휴가철엔 지역의 주차장 확보에 큰 지장을 준다.

'캠핑카 알박기'를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자진 철거를 유도해야 한다. 홍보나 캠페인을 통해 양심적으로 철거할 수 있도록 종용하는 거다. 그래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지자체 차원의 강력한 처벌 조항 신설(조례)과 범칙금 부과, 강제 퇴거 등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이때는 지자체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벌칙 조항과 퇴거 조항을 만들어야 한다.

무료 공용주차장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수다. 캠핑카의 경우엔 등록을 의무화하고, 입출고를 확인해 알박기를 근본적으로 퇴출하는 것도 방법이다. 특히 알박기로 문제가 됐던 캠핑카를 블랙리스트로 묶어 지자체들이 공유하면 알박기 방지 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블랙리스트가 캠핑카 매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면 더더욱 그렇다.

이렇게 법적 제재를 시작하면 해당 지자체의 인심이 야박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러면 그 결과가 돌고 돌아 모두가 피해자로 전락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캠핑카 오너와 유관 단체들의 자정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그래야 캠핑카 시장도 선순환할 수 있다.

사실 대동강 물을 제것처럼 팔아댄 봉이 김선달이나 무료 주차장을 제땅인 양 사용하는 캠핑카 오너나 다를 게 없다. 캠핑 시장이 커지는 만큼 캠핑 문화도 성숙해야 할 때다. 답은 쉽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
autoculture@hanmail.net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