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지하화·주민 휴식공간...인천형 '유니온파크' [현장, 그곳&]

황남건 기자 2024. 2. 2. 08: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남, 상부 공간 대형쇼핑몰 유치 기피시설 이미지 탈피
군·구, 재정분담 위해 광역화… 시민 공감할 인프라 조성을
1일 오후 경기도 하남시 하남 유니온파크에 공원과 각종 체육시설이 있다(가운데 사진). 이곳을 견학한 기자들이 유니온파크 전경 미니어처를 보고 있다(왼쪽 아래 사진). 황남건기자

 

“소각장은 보이지도 않고 냄새도 안 납니다. 공원과 체육시설이 있고, 인근엔 대형쇼핑몰까지 들어서 좋습니다.”

1일 오후 1시께 경기도 하남시 하남 유니온파크. 넓은 공원 지하에는 생활폐기물 소각장이 있지만 운반 차량은 보이지 않고 악취조차 나지 않아 소각장이 있는지 모를 정도다. 지상에 풋살장 등 체육시설에는 시민들이 운동 중이고, 공원 의자에는 주민들이 앉아 쉬고 있다. 유니온파크와 불과 50m 떨어진 곳에는 대형쇼핑몰인 ‘스타필드 하남’이 있어 주민들은 물론 서울시 등 타 지역 시민까지 찾는 휴식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인근 주민 김현배씨(58)는 “소각장이 지하로 들어가니 아무런 불편이 없다”며 “되레 큰 공원까지 생겨 살기 좋은 동네로 변했다”고 했다. 이어 “인근에 대형쇼핑몰까지 들어오면서 집값이 올랐다”고 덧붙였다.

인천지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설립이 주민 반대로 제자리걸음인 가운데, 군·구 등이 소각장의 지하화를 통해 상부공간은 공원과 대형쇼핑몰 등 주민 편의시설이 모인 ‘인천형 유니온파크’ 모델을 만들어 주민 공감대를 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더욱이 국비는 물론 인천시로부터 1천억원의 인센티브를 확보해 이 같은 시설을 만들려면 군·구가 서로 의견을 모아 광역화를 이뤄내는 것이 시급하다.

인천시와 하남시 등에 따르면 하남시는 지난 2015년 3천억원을 투입 1일 생활폐기물 48t, 음식물 80t, 재활용품 50t 등 하남시민들의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유니온파크를 조성했다. 당시 하남시는 소각장 지하화와 상부 공간 공원 조성, 인근 대형쇼핑몰 유치 등을 통해 주민들의 호응을 이끌어 냈다. 통상 소각장이 주민들이 기피하는 시설인 것과 정반대다.

이 때문에 인천지역 소각장도 지하화는 물론 이 같은 편의시설을 포함해야 주민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안중석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 사무국장은 “기피시설인 소각장을 조성하려면 인천형 유니온파크를 만들어 시민들이 공감할 만한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형 유니온파크를 조성하기 위해선 군·구의 광역화가 필수적이다. 최소 2천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사업비 때문이다. 군·구가 각자 소각장을 조성하면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하는 데다 편의시설 등을 만들기 위해 인천시로부터 받는 인센티브 규모도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어든다. 앞서 인천시는 군·구의 광역 소각장 조성 시 국비 포함 총 1천억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안 사무국장은 “군·구가 따로 소각장을 만들기엔 재정부담이 크다”며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군·구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되, 광역 소각장 건립에 시도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도 이 같이 소각장 지하화 및 주민들을 위한 시설을 최대한 담는 인천형 유니온파크 형태가 최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군·구가 국·시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광역 소각장 건립을 합의하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황남건 기자 southgeon@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