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항만연관산업 고도화…부가가치·경쟁력 높여야
- 선용품 공급·컨 수리 등 5300社
- 규모 영세… 경쟁 심해 실적 악화
- 서비스 수준 이용자 기대 못 미쳐
- 컨 터미널 외부 대형 수리장 등
- 정부 차원 업종별 혁신방안 절실
- 우수·자구노력 기업 집중 지원을
컨테이너선박이 터미널에 도착하면 바로 하역작업이 이뤄지는 게 아니다. 선박을 터미널에 접안하기 위해 도선사와 예선이 필요하고 선박을 안전하게 고정하고 화물을 살펴보기 위해 줄잡이와 랏싱(화물 고박 푸는 작업), 검수·량도 있어야 한다. 선박에 필요한 식자재나 물 연료 등의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연료 공급이나 선박 및 컨 수리 선박 청소 등도 요구된다. 이런 산업을 넓게 통칭해 ‘항만연관산업’이라 부른다. 이들은 항만의 하역과 선박 운항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간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선사의 영향력 강화와 세계적인 서비스 경제로의 전환 등을 계기로 서비스 품질이 곧 해당 항만의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영세성·과다경쟁에 시름
25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최근 발표한 동향분석자료를 보면 항만연관산업의 2021년 기준 매출액은 53조 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같은 해 국내 해운업의 전체 매출액은 52조 원과 맞먹는 규모다.
항만연관산업은 크게 ▷선박용역업을 비롯해 ▷선용품 공급업 ▷선박연료공급업 ▷선박수리업 ▷컨테이너수리업 ▷검수·감정·검량업 등이 해당된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항만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5300개 사에 달한다. 항만연관산업 사업체들은 대부분 30인 이하 영세한 규모와 낮은 수익구조 등 만성적인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 항만연관산업 사업체 수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업계 내 경쟁 역시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최근 3개년(2019~2021) 간 업계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대부분의 경영지표들도 악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보경 KMI 항만정책운영연구실 전문위원은 “이러한 산업구조로는 선박 대형화에 따른 수요 감소, 스마트·친환경화에 대응한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 등 고부가가치 창출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저임금과 근로자 노령화, 장비 노후화,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사고 발생 가능성 등도 문제라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부산항만공사가 지난해 실시한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연관산업 경영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국내외 경제 및 경기상황 변화’에 이어 ‘업계 경쟁 심화’가 2위로 꼽혔다. 특히 항만용역업과 선박연료공급업 검수·감정·검량업 수리업이 특히 심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항만연관산업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도 낮았다. 서비스의 정시 및 정확성과 안전작업 환경 등이 이용자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또 싱가포르 네덜란드 로테르담 등 해외 유수 항만들과 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대다수 업종에서 열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 항만은 ▷항만연관산업에 호의적인 정책·제도적 환경 조성 ▷시설의 규모화 및 현대화 ▷첨단기술을 적용한 생산성·안전성 개선의 특징을 보인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고도화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자구 노력·정부 지원 강화를”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항만연관산업의 경영환경 개선과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고 업계의 자구적인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지난달 시행된 항만운송사업법 개정안에는 국가와 지자체가 항만연관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 조항도 신설돼(개정법 제27조의9) 향후 지원 폭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전국 항만연관산업 실태조사를 통한 통계 기반 역시 필요하다.
업종별 고도화방안을 보면 선용품공급업은 신시장 개척을 위한 해외진출 및 타 산업과 연계된 마케팅 지원, 컨 수리업은 서비스 품질 제고 및 안전환경 확보를 위한 터미널 외부에 대형 수리장 조성 및 운영사업자 신청기준 수립 등이 요구된다. 항만용역업 중 통선(선박과 육지 사이 사람 등 운송 행위)은 소량 및 경량 물품의 드론 배송 도입 및 제도적 근거 마련, 검수·감정·검량업은 낮은 수준 요율 인상과 요율의 관리청 인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연료공급업에는 정량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질량유량계 설치 의무화, 선박수리업은 클러스터화 등이 제안됐다.
|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