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안보려 月 2만원을 낸다고?"···구글, 멤버십 수익 20조↑[양철민의 아알못]

양철민 기자 2024. 2. 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글, 작년 구독 매출 150억$↑
4년새 5배↑···이후에도 급증 전망
플랫폼공룡 구글의 '갑질' 논란도
韓 '유튜브 멤버십' 최대 70%↑
'락인효과'에 해지 쉽지않아
힘없는 정부는 그저 "아쉽다"
[서울경제]

‘유튜브 프리미엄’과 ‘유튜브 뮤직'을 포함한 구글의 멤버십 수익이 15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서비스에서 온라인 광고가 아닌 멤버십 회원비가 향후 구글의 주된 수익 모델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유튜브의 이 같은 멤버십 수익은 가입자 증가로 향후에도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 시장의 이익 기여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지난해말 광고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를 국내에서 최대 70% 가량 인상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구글의 멤버십 수입 급증에 대해 소비자들의 시선은 차갑다. 구글이 플랫폼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익숙해진 ‘락인’ 효과를 이용해 구독료를 대폭 인상했다는 점에서, 플랫폼 공룡으로서의 ‘갑질’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구글, 4분기 멤버십 매출 108억$···유튜브 광고 매출 넘어서

1일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2023년 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지난해 구글의 구독 수익이 15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2019년 수익과 비교하면 5배 이상”이라고 밝혔다.

구글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해 4분기에 ‘구독·플랫폼·기기’ 관련으로 107억9400만달러의 수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의 매출 87억9600만 달러와 비교해 관련 매출이 1년새 무려 23% 가량 늘었다. 구글이 최근까지 ‘구독·플랫폼·기기’ 관련 매출을 ‘구글 기타(Google other)’로 분류했다는 점에서, 구독 관련 매출이 별도 항목으로 공시할 정도로 의미있게 늘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반면 ‘유튜브 광고(YouTube ads)’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92억 달러로 구독·플랫폼·기기 매출의 80% 수준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해 구글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인 넷플릿스 등과 유사한 수익 모델을 향후 유튜브의 주력 수익모델로 내세우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튜브 광고 매출이 2022년 4분기 79억6300만 달러였다는 점도 주목할만 하다. 1년새 유튜브 광고 매출 성장률이 구독·플랫폼·기기 매출 성장률(23%) 대비 낮은 16%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 같은 수익 포트폴리오 덕분에 구글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어난 237억달러를 기록했다.

‘갑질’ 제대로 하는 구글, 유튜브 멤버십 최대 70% 인상

글로벌 광고 시장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구글은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를 가파르게 높이는 방식으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구글은 지난해 말 국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준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를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43% 가량 인상했다.

별도 ‘인앱결제’ 수수료를 내야하는 아이폰 이용자의 경우 해당 서비스 요금이 기존 1만4000원에서 1만9500원으로 늘었다. 특히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료가 1만1500원이었던 2020년 9월 이전 해당 서비스를 가입해 올 초까지도 같은 가격에 이를 이용했던 아이폰 이용자는, 당장 올 1분기에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료로 1만9500원을 내야한다. 이용료 상승률만 70%에 달하는 셈이다.

이 같은 글로벌 빅테크의 ‘갑질’에 대해 제재를 가해야 할 정부는 정부는 “아쉽다”는 반응만 내놓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이종호 장관은 유튜브의 갑질 이슈와 관련해 “정부가 글로벌 사업자에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많지는 않다. 이용자 편익이나 비용 전가 측면에서는 소비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방안이 있었어야 하는데 그 부분이 아쉽다”며 평론가스러운 답변을 내놓았다. 특히 정부가 국내 플랫폼 업체 규제 강화를 골자로한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에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IT 업계 관계자들은 “글로벌 빅테크는 건드리지 못하고 만만한 국내 기업만 손 보려 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