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사망률 2위 간암… “고위험군 매년 2가지 검사 2번씩”
증상 거의 없어 알아채기 어려워 초음파-혈액 검사 매년 받아야
40세 이상 간질환 환자 특히 주의
백신 등으로 B-C형 간염 예방… 건강식품 남용 땐 간 기능 저하
2일은 간암의 날이다. 대한간암학회는 고위험군 환자들에게 간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AFP) 검사를 권장한다. 두 가지 검사를 쉽게 기억하라는 취지에서 간암의 날을 2월 2일로 정했다. 국가암정보센터 통계에 따르면 간암은 국내 암 발병률 순위 7번째지만 사망률은 폐암에 이어 2번째로 높다. 사망률이 높은 만큼 예방과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장정인 중앙대 광명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임선영 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에게 ‘간암을 이기는 건강법’을 자세히 들어봤다.
● 만성 간질환 환자가 발생 위험 높아
간암은 초기뿐만 아니라 상당히 경과가 진행된 경우에도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다. 피로감과 우상 복부 불쾌감, 울렁거림,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등을 느낄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은 간암에만 나타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바로 간암으로 의심하기 어렵다. 하지만 증세가 악화되면 황달이 나타날 수 있고 우측 갈비뼈 아래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장 교수는 “특히 40세 이상 만성 간질환 환자들은 정기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병행하면 간암 조기 발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간암은 혈액검사인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와 영상검사인 간초음파 검사로 선별 검사를 한다. 이 검사로 간암이 의심되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검사를 통해 간암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
● 고주파 열치료 생존율 절제술만큼 높아
간암은 진행 정도와 간 기능 저하 여부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수술로는 간 절제술과 간 이식 등이 있다. 환자의 간 기능이 양호하고 조기 간암이라면 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고, 간 기능이 저하됐지만 간암이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면 이식을 받을 수 있다.
간 절제술은 암이 발생한 부위를 일부 떼어내는 수술이다. 간 기능이 나쁘지 않고 암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절제술 이후 5년 생존율이 70%에 이른다. 그러나 간암 환자 대부분은 간경변증으로 간 기능이 저하된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간 절제술을 받을 수 있는 환자는 10∼20%에 불과하다. 간 이식은 건강한 사람이나 뇌사자의 간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 암 치료와 간 기능 정상화에 이상적인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뇌사 장기 공여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 등 이식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별도 공여자가 필요하다.
간암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도 가능하다. 특히 고주파 열치료는 조기 간암일 경우 치료 후 생존율이 절제술만큼 높다. 경동맥 화학색전술은 간암에 혈액을 공급하는 간동맥을 막아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절제 불가능한 간암에서 간 기능이 비교적 저하돼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느 정도 진행된 간암에선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등 항암 약물 치료를 받기도 한다.
● “검증 안 된 건강식품으로 간 기능 저하도”
간암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B형 간염과 C형 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다만 B형 간염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C형 간염은 백신이 없기 때문에 혈액이나 체액으로 전파되는 감염을 조심해야 한다. 환자의 혈액이 묻을 수 있는 면도기와 칫솔, 손톱깎이 등의 공동 사용을 피하고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등의 시술도 주의해야 한다. 과도한 음주도 피하는 게 좋다. 음주는 지방간뿐만 아니라 알코올 간염을 유발하고 지속되면 간경변증으로 진행해 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또 비만과 당뇨병, 고지혈증 등 대사성 질환 환자들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운동과 식단 관리,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
장 교수는 “만성 간질환이나 간암 환자들이 검증되지 않은 건강식품이나 야생 버섯, 약초 등을 잘못 복용하면 간 기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임 교수는 “간 기능 개선제에 들어 있는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은 간에서 합성하는 담즙에 포함된 성분 중 하나로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병원에서 처방하는 약과 비교하면 함유량이 매우 적다”며 “간 질환자나 자주 술을 마시는 이들에게 일부 권장될 수 있지만 간 질환이 없는 사람이 간 기능 개선제를 장기 복용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투자를 애국심으로 합니까”… 韓주식 단타, 美주식 장기보유
- [김순덕 칼럼]이재명의 대통령 같은 신년회견
- “나는 소방과 결혼했다”…순직 소방관 2명 1계급 특진 추진
- [단독] 與野, 선관위 권고 무시하고 종로-중구 합치지 않기로
- 파월 “3월 금리 인하 어렵다” 시장 기대에 찬물…4연속 동결
- 폼페이오 “美, 亞서 억지력 상실 직전”… 한반도 안보위기 경고
- 계단 내려가거나 운전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
- 이재명 “대학 교육비 무상화” 한동훈 “경부선 철도 지하화”
- [단독] 자살 신고에 출동… “문 부쉈다 소송 당할라” 열쇠공 부르는 경찰
- 웃고 춤추며 무인점포 턴 여성 2명…30만원어치 싹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