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천개 넘어선 부실 기업···구조조정 타이밍 놓치지 말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 중 부실 업체 수가 4000개를 넘어섰다.
한국경제인협회가 31일 발표한 '기업 부실 예측 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 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업을 제외한 외감 기업 3만 6425개 사 가운데 11.7%에 달하는 4255개 사가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것으로 추정됐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는 기업의 부실과 부채 리스크가 실물경제를 넘어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촉발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기업 중 부실 업체 수가 4000개를 넘어섰다. 한국경제인협회가 31일 발표한 ‘기업 부실 예측 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 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업을 제외한 외감 기업 3만 6425개 사 가운데 11.7%에 달하는 4255개 사가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것으로 추정됐다.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또 외감 기업의 평균 부실 확률(정상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도 2019년 5.33%에서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7.92%에 달했다. 평균 부실 확률 급등은 기업들의 재무지표가 악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2.6%에서 지난해 6%로 4년 새 두 배 넘게 올랐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어음부도율이 0.23%를 기록해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았다. 기업의 이자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은 2022년 5.1배에서 지난해 상반기 1.2배로 급락했다. 기업 부실이 금융 리스크로 전이되면 수습하기 어려운 경제 위기로 치달을 수 있다. 그러잖아도 은행들의 기업 대출 건전성이 심상치 않다. 2022년 12월 0.3%였던 은행권의 기업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11월 말에는 0.6%까지 치솟았다.
한계 기업을 제때 솎아내지 못하면 그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다. 부실 기업은 건강한 기업의 성장까지 막는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한다. 지금 우리 경제는 중대한 변곡점을 맞았다.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불황의 터널을 빠져나오는 조짐을 보이는 반면 지난해 소매 판매는 전년 대비 1.4% 줄어드는 등 2년째 감소했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는 기업의 부실과 부채 리스크가 실물경제를 넘어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촉발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기업 구조조정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옥석 가리기에 최대한 속도를 내 일시적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알짜 사업체는 지원해 살리고, 회생 가능성이 없는 좀비 기업은 가려내 정리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S·알파벳·AMD 등 실적 발표 후 시총 250조 증발…왜?
- '金과일' 대신 상품권 선물…'올핸 설 대목 없어요'
- “20년 간호봉사 한 언니”…60대 여성, 마지막까지 '새 삶' 선물하고 떠났다
- 왕복 8차로서 승용차 역주행 '쾅쾅쾅'…60대 여성 심정지
- '스위프트가 美국방부 '비밀요원'?'…트럼프 지지자들의 '먹잇감'된 세계적 팝스타
- '자체 제작' 흉기 들고 옆집 40대 女 찾아간 80대 男 결국…
- 영국 외무장관 '팔레스타인 국가로 공식 인정 고려 중'
- ‘반도체 한파’ 무색하네…삼성전자, 2년간 직원 1만명 늘렸다
- 푸틴 측근, 日 영토 발언에 '용기 있으면 할복하라'
- 1억 이상 '슈퍼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아닌 '이 곳'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