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전통주로 창업 성공한 김성희씨 "먼저 다가서고 궂은일 앞장… 가장 큰 도움은 이웃" [창간35-'먼저 온 통일' 탈북민]

홍주형 2024. 1. 31. 21: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만4078명.

김씨 어머니가 제사를 위해 담그던 술이 사업 밑천이 됐다.

힘들었던 일이 많지만 김씨는 그중 가장 지독한 것은 편견이라고 말한다.

김씨는 맞섰고 먼저 다가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한 정착은 편견 속에서 자존감 되찾는 분투의 과정”
3만4078명. 지난해 12월까지 입국한 탈북민 숫자다. 탈북민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0.06%에 불과하지만 ‘먼저 온 통일’이자 ‘새로운 이산가족’으로서 분단 체제의 숙제를 몸소 보여 주는 존재로 의미가 크다. 탈북민 하면 떠오르는 틀에 박힌 이미지나 부정적 인상에서 벗어나 3만여개 능력과 꿈, 생각을 가진 다양한 탈북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통합의 첫걸음이다. 세계일보가 4인4색 탈북민을 만나 정착기를 들어봤다.
두만강은 11월이면 살얼음이 언다. 2008년 11월 김성희(50·사진)씨는 살얼음이 낀 두만강을 걸어서 건넜다. 목말을 태운 세 살 딸은 그날따라 칭얼대지 않았다. 지난 10일 김씨를 충북 음성 하나도가에서 만났다.

15년이 훌쩍 지난 지금 김씨는 북한 술 양조장을 운영하는 사업가다.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를 거쳐 남쪽에 처음 도착했을 때 정착 지원금의 80% 이상을 브로커에게 주고 나니 빈손이었다. 식당 보조로 시작했고 10년 가까이 자동차 부품 회사에 다녔다.

어느 날 딸이 화가가 되고 싶다고 했다. 남편이 죽은 뒤 8개월 만에 모질게 탈북한 것은 “딸만큼은 잘 키우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당시 김씨가 버는 돈으로는 딸을 충분히 뒷바라지하기 어려웠다. 창업을 결심한 이유다.

공식적인 술 판매가 금지된 북한에서 사람들은 집집마다 특색 있는 술을 담근다. 김씨 어머니가 제사를 위해 담그던 술이 사업 밑천이 됐다. 처음엔 회사를 다니면서 방에 항아리를 놓고 연습했다. 2019년 퇴직금과 남북하나재단 영농정착지원금으로 창업했지만 곧 코로나19가 번지면서 개점휴업이나 마찬가지가 됐다. 아르바이트를 무려 5개나 뛰며 버텼다.

힘들었던 시간이 지나고 김씨의 술은 입소문을 타고 있다. 지난해 성공적인 탈북민 정착 사례로 국회의장상도 받았다. 최근에는 야심 찬 신상품을 출시했다.

힘들었던 일이 많지만 김씨는 그중 가장 지독한 것은 편견이라고 말한다. 웃는 낯으로 건넨 술을 면전에서 뱉고 공산주의자라며 손가락질했다. 김씨는 맞섰고 먼저 다가섰다. 잠을 줄여 가며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하고 일손이 부족한 동네의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남쪽에서의 생활이 아무리 힘들어도 총구를 뒤로하고 딸을 업은 채 두만강을 건너던 순간과는 비교할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김씨는 가장 큰 도움이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탈북 후 처음 살던 강원 강릉에서 만난 적십자 봉사자 ‘언니들’의 배려와 기꺼이 이웃으로 그를 받아들여 준 음성의 동네 어르신들이 없었으면 오늘도 없었을 것이라는 얘기다.

글=홍주형 기자, 사진=남정탁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