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투자 `뚝심`… 삼성, 실적반등 신호탄
영업익 4배규모 R&D투자 효과
AI·고성능컴퓨팅에 수요 증가
비수기 불구 반도체 반등 기대
삼성전자가 지난해 부진했던 반도체 사업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올해 본격적인 반등의 신호탄을 쐈다. 전통적으로 1분기가 반도체 산업의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AI(인공지능)과 고성능컴퓨팅(HPC) 등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특히 회사는 작년 연간 영업이익의 4배에 이르는 사상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 (R&D)투자를 집행하며 미래 성장동력 마련의 기틀을 다졌다.
이재용(사진)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해 초부터 현장경영 때마다 "인재 양성과 미래 기술 투자에 조금도 흔들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여러 차례 뚝심 있는 R&D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기준 매출 67조7799억원, 영업이익 2조8470억원의 경영 실적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3.8%, 영업이익은 34.4% 하락한 수치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3분기보다는 매출 0.6%, 영업이익 16.1% 올랐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 258조9355억원, 영업이익은 6조5670억원을 거뒀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4.3% 줄고, 영업이익도 84.9% 줄어들었다.
지난해 4분기는 연말 성수기 경쟁이 심화되면서 스마트폰 출하량은 감소했지만, 메모리 가격 상승과 디스플레이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가 돋보이며 매출이 전분기보다 늘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에서 매출 21조6900억원, 영업손실 2조18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분기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이 4조58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후 메모리 사업의 감산을 공식화한 바 있다. 이후 DS부문의 적자 규모는 2분기 4조3600억원, 3분기 3조7500억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이번 4분기에는 2조1800억원까지 줄어들며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MX(모바일경험)는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가 둔화되면서 전분기 대비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으나, 태블릿 제품은 프리미엄 신제품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증가했으며 웨어러블 제품도 연말 성수기를 활용해 견조한 판매를 유지했다.또 설계 최적화 및 지속적인 리소스 효율화롤 통해 견조한 두 자릿수 수익성을 유지했다.
네트워크는 국내 및 북미, 일본 등 해외시장 매출이 증가했다.VD(비주얼디스플레이)의 경우 전반적인 TV 시장 수요 정체와 경쟁 심화에 따른 제반 비용 증가로 전년 및 전분기 대비 수익성은 소폭 감소했다. 생활가전은 시스템에어컨 중심으로 B2B 사업이 성장하고 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판매 비중이 개선됐으나, 수요 역성장 속에 경쟁이 심화되면서 실적은 둔화됐다.
하만은 지난해 4분기 매출 3조9200억원, 영업이익 34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자 오디오 제품의 성수기 판매가 증가해 매출이 증가했으며 연간 기준 전년 대비 성장이 지속됐다. 삼성디스플레이(SDC)는 매출 9조6600억원, 영업이익 2조100억원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D램 흑자 달성에 이어 1분기에는 메모리 사업 전체의 흑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현재의 감산 기조는 당분간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재고 정상화 목표와 이를 위한 생산량 조정 기조는 변화가 없다"며 "현재 D램 중심으로 재고 수준이 상당히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부 제품별 재고 수준은 차이가 있어 선별적 생산 조정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D램 흑자 달성에 이어 1분기에는 메모리 사업 전체의 흑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현재의 감산 기조는 당분간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재고 정상화 목표와 이를 위한 생산량 조정 기조는 변화가 없다"며 "현재 D램 중심으로 재고 수준이 상당히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부 제품별 재고 수준은 차이가 있어 선별적 생산 조정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재고 정상화 시점은 D램의 경우 올 1분기, 낸드는 상반기 중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올해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제품별 회복 속도 차이에 따라 전사적으로 '상저하고'의 실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를 비롯해 MX, VD, 생활가전 등 전 영역에서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로 수익성 개선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실적 악화에도 역대급 연구·개발(R&D) 투자와 시설투자를 집행했다. 삼성전자의 4분기 R&D투자 7조5500억원은 역대 분기 최대이며, 연간으로도 28조3400억원으로 기존 역대 최대였던 2022년(24조920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700억원)의 4배가 넘는 규모다. 시설투자 역시 4분기에만 16조4000억원을 투입해 역대 분기 최대였던 2022년 4분기(20조2000억원) 이후 역대 2번째로 많았다. 연간으로는 53조1000억원을 투입했는데 이는 기존 역대 최대였던 2022년과 같은 수준이다.
전혜인기자 hy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절교하겠다고?" 친구 살해한 여고생, 징역 15년에 항소
- "아파트 한 채가 전부"라던 푸틴…여의도 1.4배 `아방궁` 별장 나왔다
- "너도 당해봐라"…`귀신소리` 위층에 내보낸 40대 부부의 최후
- 유연수 다리 앗아간 30대 만취운전자 "징역 4년 너무 많아" 항소
- "로그인해 1500만원 쐈다"…전청조가 남현희 속인 `51조` 계좌 실체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