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2부, 안 본 사람 모두 모여라…이토록 짜릿한 속편은 처음이야 [솔직리뷰]

김현숙 MK스포츠 기자(esther17@mkculture.com) 2024. 1. 31. 1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계+인' 2부가 1부의 부실함을 채웠다.

'외계+인' 2부는 치열한 신검 쟁탈전 속 숨겨진 비밀이 밝혀지는 가운데 미래로 돌아가 모두를 구하려는 인간과 도사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최동훈 감독이 '외계+인' 2부를 얼마나 신경을 써서 만들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외계+인' 2부는 1부의 떡밥을 모두 회수함과 동시에 각 배우들의 액션신, 그리고 웃음을 놓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계+인’ 2부, 지난 10일 개봉

‘외계+인’ 2부가 1부의 부실함을 채웠다. 채워지지 않았던 퍼즐이 채워지면서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외계+인’ 2부는 지난 2022년에 개봉한 ‘외계+인’의 속편이다. ‘외계+인’ 2부는 치열한 신검 쟁탈전 속 숨겨진 비밀이 밝혀지는 가운데 미래로 돌아가 모두를 구하려는 인간과 도사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외계+인’ 2부가 1부의 부실함을 채웠다. 사진 = CJ ENM
비록 1부를 못 본 관객들일지라도 괜찮다. 2부 시작에는 1부를 간략하게 설명해줘 충분한 이해를 돕는다. 최동훈 감독이 ‘외계+인’ 2부를 얼마나 신경을 써서 만들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영화는 붉은 외계 대기 하바의 폭발을 막고 지구를 지키려는 현대와 고려시대로 넘어온 이안(김태리 분)이 신검을 손에 넣고 썬더(김우빈 분)를 찾아 2022년 미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 과정에서 얼치기 도사 무륵(류준열 분)은 자신의 몸에 들어온 이상한 존재에 혼란을 느낀다. 그리고 무륵 안에 요괴가 들어갔다고 의심하는 삼각산 두 신선 흑설(염정아 분), 청운(조우진 분)은 더욱 찰진 입담을 뽐낸다.

김태리 ‘외계+인’ 2부 스틸컷. 사진 = CJ ENM
신검을 빼앗아 눈을 뜨려는 맹인 검객 능파(진선규 분)와 신검을 빼앗으려는 외계인 죄수 자장(김의성 분)까지,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해 눈을 즐겁게 한다. 여기에 모든 진실을 알고 있는 민개인(이하늬 분)이 키포인트가 되어 큰 활약을 펼친다.

다소 많은 인물이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외계+인’ 2부에서는 각 인물을 잘 설명해 이들의 서사와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매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게 만들었다.

배우 류준열의 ‘외계+인’ 2부 스틸컷. 사진 = CJ ENM
1부에서는 인간의 몸에 외계인 죄수를 가두는 모습이 그려져 신선함을 보였다. 또한 각 캐릭터의 서사를 설명하며 곳곳에 떡밥을 설치했고, 이 떡밥은 비로소 2부에서 해소된다. 특히 이안과 무륵의 과거 인연이 밝혀지며 두 사람의 관계도 조명된다.

또한 122분 러닝 타임 동안 다양한 도술과 총격신이 그려지며 액션의 즐거움도 보여준다. 2022년 서울 가드(김우빈 분)의 집 앞에서 벌어지는 최후의 전투신은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다.

붉은 외계 대기 하바를 막기 위해 외계인과 맞서 싸우는 고려시대와 현대의 캐릭터들이 한데 모여 싸우는 장면은 마치 마블의 ‘어벤져스’를 연상케 한다. 이 장면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사이다를 선사한다.

배우 류준열, 김우빈의 ‘외계+인’ 2부 스틸컷. 사진 = CJ ENM
한편 영상 말미 열린 엔딩으로 끝이 나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후속작이 있는 건 아닌지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 갈 것이다. 예상치 못한 반전도 있어 영화를 보면서 추측해보는 것도 관전포인트다.

‘외계+인’ 2부는 1부의 떡밥을 모두 회수함과 동시에 각 배우들의 액션신, 그리고 웃음을 놓지 않았다. 아직 도전하지 못한 관객들은 극장에서 꼭 확인하길 바란다. 현재 절찬 상영 중이며, 130만 명을 돌파했다.

[김현숙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