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뿌린 도넛의 유혹을 못 이기는 건... 미각세포 아닌 ‘이것’ 때문

변희원 기자 2024. 1. 31. 09: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이어트가 힘든 것은 인간의 뇌와 장을 연결하는 미주신경계에 ‘지방’과 ‘당분’에 대한 갈망 경로가 따로 있어 둘이 결합할 경우 뇌에서 다량의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팀홀튼에서 판매하는 도넛./이민아 기자

‘세포 대사(Cell Metabolism)’에 발표된 연구는 후각·미각 전문 비영리과학재단 모넬의 화학감각센터의 기욤 드 라티그 박사(신경과학)가 진행했다. 최신 신경 과학 기술을 이용해 생쥐의 미주신경계에 있는 지방과 당분 관련 신경세포를 직접적으로 조작했다.

연구에서 지방과 당분을 당기게 하는 것은 미각세포가 아니라 미주신경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미주신경은 뇌줄기의 연수에 위치한 신경으로 그 줄기가 내장까지 연결됐다. 그 결과, 지방과 당분 관련 신경세포가 뇌의 보상 중추에서 도파민 분비를 일으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내장에서 시작해 뇌로 무엇을 먹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독자적인 두 개의 미주신경 경로(지방용과 당분용)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지방 회로와 당분 회로를 둘 다 활성화하는 것이 “뇌에 원투 펀치를 날리는 것과 같은 시너지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지방과 당분의 결합은 훨씬 더 많은 도파민 방출을 가져왔고 결국 생쥐의 과식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지방과 설탕이 각자의 독자적 신경회로를 갖고 있다는 것은 다이어트가 왜 그렇게 어려운지도 설명해준다. 인간의 뇌는 기본적으로 고지방과 고당분 조합을 추구하기 때문에 의식적 노력으로 이를 억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런 내장-뇌 간 소통이 의식 수준 아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이러한 음식을 갈망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