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화석연료·희토류·반도체 등 원자재 및 부품 공급 우려↑"

김경아 2024. 1. 31. 08: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영진 34% “향후 5년 자동차 산업 성장할 것” 전년比 감소
삼정KPMG ‘24th KPMG 글로벌 자동차 산업 동향’ 발간
출처: 삼정KPMG

[파이낸셜뉴스] 향후 5년간 자동차 산업이 성장할 것이라 확신하는 글로벌 경영진의 비중이 감소한 가운데, 경영진은 특히 화석연료, 희토류 원소, 반도체 등 원자재 및 부품 공급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삼정KPMGS는 1월 31일 전 세계 30개국 1041명의 자동차 및 관련 산업 경영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담은 ‘24th KPMG 글로벌 자동차 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자동차 산업이 높은 수익을 내며 성장할 것이라 확신하는 경영진의 비중은 2022년 41%에서 2023년 34%로 감소했다.

일본의 경우 자국의 자동차 산업이 향후 5년간 수익성 높게 성장할 것임을 ‘매우 확신’한다고 대답한 비율이 10%에 그쳤다. 이는 2022년 32%에서 22%p나 떨어진 수치다. 서유럽과 미국 시장 내 경영진도 성장에 대한 확신이 각각 24%, 43%로, 전년 대비 7%p와 5%p 줄었다.

다만, 중국 응답자 중 36%는 자국의 자동차 산업이 향후 5년 간 높은 수익을 내며 성장할 것이라고 ‘매우 확신’ 했는데, 이 수치는 작년 28% 대비 8%p 증가했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연간 자동차 판매 목표량을 증가시키며 신에너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내수 진작 정책을 펼치고 있다.

보고서는 “원가경쟁력을 갖춘 중국산 전기차가 유럽 시장 등에 수출되면서 중국 자동차 산업의 수익성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 기대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의 자동차 산업 경영진 40% 이상이 화석연료, 희토류 원소, 반도체 등 원자재 및 부품 공급에 대해 ‘매우 우려’하거나 ‘우려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특히 리튬을 포함해 코발트, 니켈, 기타 배터리 부품 공급에 대해 우려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9%로, 가장 우려되는 분야로 드러났다.

반면, 중국 경영진은 리튬, 코발트, 니켈, 기타 배터리 부품 공급에 대해 ‘매우 우려’하거나 ‘우려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8%로 중국 외 국가 대비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는 중국이 원자재를 보유하며 타 국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 데 기인한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 정책과 관련해, 자동차 산업 경영진은 예년에 비해 더욱 강력한 지지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는 75%의 경영진이 소비자에게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응답했지만, 2023년 조사에서는 84%의 경영진이 동의했다. 특히 고가의 전기차 모델까지 포함해 모든 전기차에 보조금을 시행해야 한다고 응답한 경영진의 비중은 2022년에는 21%에서 2023년 30%로 훨씬 늘었다.

전기차 충전 시장 내 높은 경쟁력을 가진 주체는 전기차 충전 기업(19%), 전력 유틸리티(19%), 테슬라 수퍼차저(17%), 정유 기업∙주유소(17%), 완성차 제조사 또는 컨소시엄(14%), 딜러사(14%)로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개별 기업으로 보면 테슬라의 비중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주행성능이 자동차 구매 결정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영진 비중은 38%이며,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40%에 달했다.

삼정KPMG 자동차산업 리더 위승훈 부대표는 “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자동차 산업 경영진들이 미래를 위한 중요한 어젠다로 고객경험과 디지털 소비자에 대한 대응, 다양한 시뮬레이션에 입각한 공급망 전략 다각화,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분야 인재 발굴 등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 대상은 CEO(24%)와 C레벨 임원(24%, CEO 제외)이 절반 이상이다. 미국(277명), 서유럽(314명), 중국(154명)을 중심으로 북미, 남미, 동유럽, 인도 및 아세안, 동북아시아(한국, 일본) 등 다양한 지역이 포함됐다. 2022년 기준 연간 매출 규모가 100억 달러(약 13조원) 이상인 기업이 8.5%, 10억 달러~100억 달러(약 1조3000억원~13조원) 기업 22.6%, 5억 달러~10억 달러(약 6,655억~1조3000억원) 기업이 22.9%를 차지했다. 이번 보고서는 삼정KPMG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희토류 #반도체 #삼정KPMG #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