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전? 창작 산업계는 희생”...AI 생성물 표기 의무화 중요성 [MK현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AI(인공지능) 산업 발전에 중점을 둘 뿐 대중문화콘텐츠 등 창작 산업계는 희생되고 있다."
현재 유럽 연합(EU)에서만 지난해 12월 AI 생성물 표시에 대한 입법안이 임시적으로 합의됐을 뿐 미국, 프랑스 등 콘텐츠 소비 주요 국가 등에서는 여전히 또렷한 입법안이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처 정확치 않은, 무분별한 AI 콘텐츠가 제작되면서 저작권을 해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 안에서 대중문화예술 업계의 피해가 적지 않다. 이에 저작권자들의 권리를 위해 관계자들이 목소리를 높였다. ‘AI 제작 콘텐츠 표기 의무법’을 발의한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시작됐다.
3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생성형 AI 콘텐츠 표기(Made by AI) 의무화법 도입을 위한 국회 공청회’가 개최됐다.
이 의원은 “국내 AI 오남용을 막고 창작가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 입법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AI 콘텐츠의 신뢰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법안을 만들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현재 유럽 연합(EU)에서만 지난해 12월 AI 생성물 표시에 대한 입법안이 임시적으로 합의됐을 뿐 미국, 프랑스 등 콘텐츠 소비 주요 국가 등에서는 여전히 또렷한 입법안이 없다. EU도 최종안에 대해서는 미공개한 상황이다.
국내에선 지난해 5월 나온 이 의원의 발의가 국회에 계류 중이다. 그 사이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는 잘못된 AI 콘텐츠, 즉 딥페이크, 가짜뉴스 등이 무수히 쏟아졌다. 일례로 가수 박효신이 부르지 않은 “박효신이 부르는 박재정의 ‘헤어지자 말해요’” 등 원작자는 물론 AI에 활용된 가수 역시 이 과정에 개입되지 않았다. 즉 저작권 불투명한 곡들이 탄생하며 주인 없는 노래들에 대한 소비(조회수)만 늘어나는 애매한 상황이 지속됐다.
해당 콘텐츠들을 접하는 일반인들은 단순 흥미 콘텐츠에 불과하지만 정작 창작자들에겐 뼈아픈 사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창작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황 국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AI 생성물 허위등록으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관련 법안이 발효되지 않으면 이러한 피해는 계속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전에도 이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안타까웠던 건 AI 산업계 관계자들과 법학자들 사이에서만 이야기가 활발히 소통될 뿐 대중문화예술계의 적극 참여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AI 기술 산업 발전에 우호적인 모습으로 판단하지만 이와 더불어 창작 산업계(대중문화)의 희생 요구가 있었다”라고 꼬집었다.
이와관련 이대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불법적인 AI 콘텐츠가 유통됐을 때 창작자들을 위한 보상법도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승훈 스타투데이 기자]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포토]아이브 가을, 청순여신 - 스타투데이
- [포토]안유진, 오버핏도 완벽소화 - 스타투데이
- [포토]아이브 레이, 러블리 발걸음 - 스타투데이
- ‘환상연가’ 박지훈 불길 앞 망연자실...무슨 일? - 스타투데이
- ‘금쪽상담소’ 팝핀현준 “父 사업 부도로 2년 노숙” - 스타투데이
- “AI 발전? 창작 산업계는 희생”...AI 생성물 표기 의무화 중요성 [MK현장] - 스타투데이
- “AI 발전? 창작 산업계는 희생”...AI 생성물 표기 의무화 중요성 [MK현장] - 스타투데이
- [포토]안유진, 블랙 롱코트 여신 - 스타투데이
- [포토]장원영, 손바닥 만한 얼굴 - 스타투데이
- [포토]아이브, 월드투어 떠나요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