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 감소에 대학총장들 '유학생 유치' 관심 전년보다 20%p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총장 가운데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우선 관심사로 꼽은 비율이 전년보다 20%포인트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장들은 유학생 유치 과정의 어려움으로 '유학생의 불법체류 우려'(63.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유학생 유치와 대학 국제화에 필요한 정부 지원책은 △유학생 비자 제도 개선 △지자체 연계 취업 지원 △불법 체류율 산정 방식 등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도 개선 △유학생 중도 이탈 및 불법체류 관리 책임 분담 △유학생 정주 지원 순으로 꼽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치 과정 우려 1순위는 '불법 체류'
77%는 무전공 선발 도입 및 확대 계획
대학총장 가운데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우선 관심사로 꼽은 비율이 전년보다 20%포인트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전국 4년제 대학 135개교 총장을 대상으로 이달 10~22일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설문에 참여한 대학은 대교협 전체 회원 대학의 71.1%로, 사립대 104개교, 국공립대 31개교다.
관심 영역 우선순위(복수응답)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4.8%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을 꼽았다. 지난해(34.7%) 대비 20.1%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순위도 지난해 7위에서 올해 3위로 상승했다. 1, 2위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정부 등의 재정 지원 사업'(72.9%)과 '신입생 모집 및 충원'(63.7%)이었다.
'교육과정 및 학사 개편'(46.7%)과 '등록금 인상'(43.7%)은 지난해보다 한 단계씩 올라 각각 4, 5위였다. '등록금 인상'(43.7%)은 전년 대비 8.2%포인트 올라 유학생 유치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전반적으로 보면 2009년부터 15년간 이어지고 있는 등록금 동결 정책 기조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재정 위기 대응에 대학총장들이 부심하고 있는 셈이다.
총장들은 유학생 유치 과정의 어려움으로 '유학생의 불법체류 우려'(63.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유학생 취업 전략 수립 어려움'(59.3%),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 등 제도적 어려움'(56.3%), '불충분한 영어 강의 및 교육과정 부족'(35.6%)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유학생 유치와 대학 국제화에 필요한 정부 지원책은 △유학생 비자 제도 개선 △지자체 연계 취업 지원 △불법 체류율 산정 방식 등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도 개선 △유학생 중도 이탈 및 불법체류 관리 책임 분담 △유학생 정주 지원 순으로 꼽혔다.
지자체가 행정·재정 권한을 갖고 지역 발전과 연계해 대학 혁신을 추진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가 내년부터 본격 도입되는 가운데, 총장들은 RISE 정책의 우려점으로 '지역대학 간 경쟁·갈등 및 특정대학 편중 지원'(30명), '지자체와 RISE 전담기관의 대학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강화 필요'(27명)를 가장 많이 들었다. RISE 체제에서 유학생 유치가 원활하려면 △행·재정 지원을 통한 학내 외국인 유학생 교육 인프라 구축 △지역특화형 비자 등을 통한 유학생 입국 절차 완화 △지역 산업체 연계 현장학습 제공 및 취업처 연계 등을 정부와 지자체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총장들은 지적했다.
교육부의 무전공(자유전공) 선발 확대 방침과 관련, 이미 무전공 제도를 도입한 61개교 가운데 47개교는 무전공 선발 정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무전공 선발을 하고 있지 않은 74개교 중 57개교도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설문에 응한 135개 대학 중 104개교(77%)가 정부 방침에 따를 의사를 보인 셈이다.
무전공 도입 및 확대의 애로점으로는 '학문 편중과 전공 쏠림 우려'(32.6%)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구성원 반발과 갈등에 따른 설득 및 협의'(22.2%), '대학 및 계열 특성에 따른 일률적 적용 어려움'(20.7%) 순이었다. 제도 개선 사항으로는 △대학 및 계열 특성에 따른 자율성과 개선책 마련 △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 도입(의견수렴, 시범운영 뒤 시행시점 조정) 등이 꼽혔다.
손현성 기자 hsh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저출생 이유 알겠다"... '2주에 800만 원' 강남 산후조리원 소개한 NYT
- [단독] 새마을금고 '칼잡이'가 계좌번호 찍어 보냈다 “저희 딸 결혼합니다”
- "최순실 보다 못한 文" 비판 이언주 복당…민주당 의원들 '싸늘'
- '세 살배기 보유 주식이 22.5억'... 상속증여세 개편 걸림돌 '부모 찬스'
- 아파트 28층에 걸린 'SOS'… 속옷만 입고 20시간 넘게 갇힌 노인 있었다
- 머스크의 뉴럴링크, 사람 뇌에 처음으로 컴퓨터칩 이식... '영생' 꿈에 한 발짝
- 한 소방관의 '매의 눈'… 8만3000대 자동차 리콜 이끌었다
- 20대 쌍둥이 형제, 하천변서 나란히 숨진 채 발견
- 이병헌·이민정 미국 집에 도둑 침입... "가족 한국에, 피해 없어"
- "할리우드 배우에 대시 받았다?"...김윤진, 깜짝 고백 ('어서오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