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대표 술로 자리잡은 위스키, 지난해 수입량 사상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위스키가 각광받으며 지난해 위스키 수입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30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3만586t(톤)으로 전년보다 13.1% 증가했다.
위스키 수입량은 2019년 약 2만t에서 2020년 1만5찬923t, 2021년 1만5천662t으로 줄었다가 2022년 2만7천38t으로 급증한 뒤 지난해 3만t을 돌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위스키가 각광받으며 지난해 위스키 수입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30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3만586t(톤)으로 전년보다 13.1% 증가했다. 위스키 수입량이 3만 톤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위스키 수입량은 2019년 약 2만t에서 2020년 1만5찬923t, 2021년 1만5천662t으로 줄었다가 2022년 2만7천38t으로 급증한 뒤 지난해 3만t을 돌파했다.
위스키에 토닉워터 등을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면서 위스키 수입량이 함께 늘어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과거 ‘독하고 비싼 어른 술’로 인식되던 위스키가 대중적인 술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다.
실제로 예전과 달리 최근 수입되는 위스키는 대다수가 중저가 제품이다. 위스키 수입량은 13% 넘게 증가했지만 수입액은 전년보다 2.7% 줄어든 2억5천957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와인 수입은 크게 줄었다. 지난해 와인 수입량은 5만6천542t으로 전년 대비 20.4% 줄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와인 수입량은 2019년 4만3천t 수준에서 코로나 첫해인 2020년에는 홈술, 혼술의 영향으로 5만4천t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1년 7만7천t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엔데믹과 함께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수입량이 2022년 7만1천t, 지난해 5만6천여t까지 감소했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