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공 희망 대학 77%…속도 조절해도 "여력 안 돼"
[EBS 뉴스12]
올해는 대학 자율에 맡기지만, 내년 이후의 입시부터 무전공을 확대한다는 방침만큼은 확고하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대학가에서도 속속 도입 의지를 밝히고 있는데요.
다만, 부작용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는 여전히 나오고 있습니다.
진태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무전공 제도가 본격 도입되는 건 올해 고2 학생들이 치르는 2026학년도 입시부터입니다.
당장 올해부터 확대하기엔, 부작용 우려가 크고, 준비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교육부는 우선, 특정 전공 쏠림에 대비해 교원이나 공간을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또, 기초 학문의 고사를 막기 위해, 교양 교육을 확대하고, 다른 전공과 연계한 융합 전공을 유도한다는 방침입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초학문을 고사시키지 않으면서 모든 아이들을 위한 전공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혁신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인기 학과에서 벌어질 수 있는 교수 채용난 우려에 대해선, 학과 간 칸막이를 없애 교원을 배치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지금처럼 한 명의 교원이 한 개의 학과에 속하지 않고, 관련성 있는 두 개의 학과나 단과대학에 속하도록 선발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대학들은 이미 재정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런 대응책을 마련할 재정이나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서울 소재 A 사립대 입학처장
"대학들이 지금 돈이 없거든요. 등록금 못 올린 지도 몇 년 됐고. 이런 상태에서 갑자기 그런 강의 인프라 같은 것들을 이렇게 만들어내는 것 자체가 재정적으로 굉장히 큰 부담이 되기도 하고요. "
인터뷰: 서울 소재 B 사립대 입학처장
"1년이 늦어지긴 했지만 사실 우리가 2년 예고제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는 거죠. 보통 일이 아니고 그다음에 저희도 학생들 융합 교육해야 되고 나중에 적성에 맞게 선택권 보장하고 이거 다 찬성하는데 지금 이렇게 급작스럽게 해도 되는 건지…."
실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설문조사 결과, 대학 총장들 역시, 전공 쏠림으로 생길 문제들에 대해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학내 구성원의 반발이 무전공을 도입, 확대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대학에 더 많은 자율성을 주고, 의견수렴과 시범 운영을 거쳐 도입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습니다.
한편, 정부의 무전공 확대 방침으로 자유전공이나 무전공으로 학생을 뽑는 대학은 지금보다 훨씬 많아질 전망입니다.
현재 자유전공이나 무전공을 운영하지 않는 대학 74개교 중 77%는 이후 도입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운영 중인 61개교 가운데 앞으로 자유전공이나 무전공을 더 확대할 예정인 곳 역시 77%나 됐습니다.
EBS뉴스 진태희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