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등학교마저 문 닫는다…입학생 구하기 하늘의 별따기, 폐교 창의적 활용 고민을 [기자24시]

이용익 기자(yongik@mk.co.kr) 2024. 1. 30. 13: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등학교 입학생을 구하기 위해 입학 장학금을 내걸고 선생님들이 직접 전단지를 뿌리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아파트 단지가 몰린 지역은 과밀 학급이라고 난리입니다. 때로는 시골 학교가 아이 정서에 좋겠다며 일부러 위장전입을 하는 사람도 있으니 어디에 초점을 맞출지 머리가 아프네요."

지난해 문을 닫은 서울 광진구 화양동의 화양초등학교 용지는 주차장으로 쓰이면서 쓰레기 등의 문제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입학생을 구하기 위해 입학 장학금을 내걸고 선생님들이 직접 전단지를 뿌리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아파트 단지가 몰린 지역은 과밀 학급이라고 난리입니다. 때로는 시골 학교가 아이 정서에 좋겠다며 일부러 위장전입을 하는 사람도 있으니 어디에 초점을 맞출지 머리가 아프네요.”

경기도 안성시 산평초등학교의 홍보전단지
최근 취재 중 만난 한 경기도교육청 공무원은 도농복합지역인 경기도 특성상 학교 사정이 저마다 다르다며 이같이 말했다. 인구구조가 바뀌며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그 적은 인구가 도시지역으로 몰리다 보니 일어나는 현상이다.

차라리 학생이 많은 곳은 교원을 더 투입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하지만 저출생 여파는 쉽사리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 올해 초등학교 신입생이 사상 처음 30만명대로 떨어졌다고 하니 앞으로도 반복될 일이다. 이제 수도권은 물론 서울에서도 교문을 닫아야 하는 학교가 생겨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전국에서 문을 닫는 초·중·고교는 33개에 달하고, 그중 경기도와 서울 소재 학교가 8곳이니 피부로 느껴지는 수준이다.

다음달 폐교를 앞둔 서울 성동구 성수공업고등학교 교정. 이승환 기자
어차피 폐교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이후의 대처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다. 지난해 문을 닫은 서울 광진구 화양동의 화양초등학교 용지는 주차장으로 쓰이면서 쓰레기 등의 문제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용지와 건물 용처를 두고 서울시교육청과 서울시, 광진구가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과거 특수학교 등으로 재활용하려던 폐교들은 주민 반대로 어려움을 겪은 적도 있다고 한다. 물론 기존 학교를 개편하거나 오피스텔 등 주택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캠퍼스를 설립하는 ‘도시형 캠퍼스’ 등 새로운 시도가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과밀억제권역인 서울은 폐교 이후 10년 동안 용적률과 건폐율을 제한받고, 교육 용지를 다른 용도로 바꾸는 것도 쉽지 않다.

보다 열린 자세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 시대에 맞춰 모든 세대가 공부하는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근처 주민을 위해 체육시설 활용도를 높일 수도 있다. 도심의 작은 숲으로 조성하는 것은 어떨까. 제한을 두지 않는 실험을 해볼 시간이다.

이용익 사회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