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 없이는 켄도 없다”… ‘성차별’ 논란 일으킨 오스카의 ‘바비’ 패싱 [플랫]

플랫팀 기자 2024. 1. 30. 1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연 마고로비, 여우주연상 제외…거윅은 감독상 후보에 못 올라
현지에서 “푸대접” 분노 확산, “인종차별이 더 문제” 지적도

지난해 전 세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영화 <바비>가 올해 아카데미상(오스카상) 시상식에서 감독상과 여우주연상 후보로 지명되지 않은 것을 두고 미국 내에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관하는 미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지난 23일(현지시간) 발표한 후보 명단에서 <바비>는 작품상과 각색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등 8개 부문에 올랐다. 그러나 정작 그레타 거윅 감독과 주연 마고 로비는 주요 부문인 감독상과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영화 바비 스틸컷. 위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플랫]“가부장제에 부딪치지 않게 조심하세요”···‘핑크 코미디’ 바비

이를 두고 현지에서는 “놀라운 결과”라는 평가와 더불어 “오스카가 <바비>를 푸대접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NN은 “거윅과 로비가 충격적인 무시를 당했다”며 “반면 그 상처에 소금을 뿌리듯 고슬링은 <바비>의 ‘켄’ 역으로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고 지적했다.

고슬링도 이와 관련해 성명을 내고 “바비 없이는 켄도 없고, 거윅과 로비 없이 영화 <바비>가 있을 수 없었다”며 “그들이 해당 부문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은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바비>는 여성 감독이 단독으로 연출한 영화 중 최초로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의 흥행 수익을 돌파한 블록버스터 영화로, 가부장적 문제를 재치있게 풍자하고 있다.

📌[플랫]영화 <바비>는 전형성을 넘어 성장하는 ‘바비’

오스카상 후보 명단이 발표된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번 일이 <바비>의 줄거리와 꼭 닮았다는 비판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영화 팬들과 미국 유명 인사들은 아카데미가 작품상 후보작의 여성 감독과 주연 여배우를 제외한 것은 이 단체의 성차별적인 구조가 반영된 결과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작가 샬럿 클라이머는 엑스(옛 트위터)에서 “아카데미는 가부장적 구조에서 소외된 여성들에 대한 영화인 바비를 작품상 후보에 올렸지만, 이 영화를 연출한 여성은 수상 후보에 올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작가 조디 리퍼는 인스타그램에서 이 영화 속 대사를 인용해 “우리는 사실 가부장제를 아주 잘하고 있다”며 이번 일을 비꼬는 내용을 올렸다. 소설가 브래드 멜처도 “바비가 아니라 켄을 후보에 올린 것은 영화 속 줄거리와 똑같다”고 꼬집었다.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도 엑스를 통해 “그레타와 마고, 흥행에 성공했지만 금메달을 집에 가져가지는 못한다”며 “수백만의 팬들은 당신들을 사랑하고, 두 사람은 ‘케너프’(켄만으로 충분하다는 뜻의 영화 속 신조어)보다 훨씬 더 훌륭하다”고 밝혔다.

반면 이번 일을 성차별 문제로 보기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배우 우피 골드버그는 인터뷰에서 “나는 이 영화의 위대함과 벌어들인 돈에 대해 알지만, 모두가 상을 받는 것은 아니다”라며 “(후보 지명에) 무시는 없다. 시상은 주관적이고, 당신이 좋아하는 영화들이 시상식 투표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사랑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영화매체 할리우드리포터의 수석 편집자 레베카 선은 칼럼을 통해 “바비가 무시된 것을 단순히 성차별로 치부하는 것은 너무 단순하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시상식 무시에 대한 집착은 백인 페미니즘의 한 사례”라면서 사람들이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첫 원주민 출신 배우 릴리 글래드스톤 등 유색인종 여성을 인정하는 대신, 두 백인 여성에게만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에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고도 연기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대표적인 유색인종 배우로 <패스트 라이브즈>의 한국계 배우 그레타 리를 꼽았다. 그는 “리의 연기가 일부 (아카데미) 투표자들에게는 너무 미묘하고 조용하게 느껴진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 최서은 기자 cielo@khan.kr

플랫팀 기자 flat@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