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컴퍼니케이파트너스 변준영 부사장·박준규 상무·박준범 차장 | “ 성장 벤처기업의 전략적 M&A 돕는다”
국내 벤처기업에 있어서 인수합병(M&A)을 활용한 성장 동력 확보는 남의 나라 얘기다. 미국은 벤처기업이 시너지 효과를 위해 또 다른 벤처기업을 인수하는 사례가 많다. 페이스북(현 메타)이 2012년 인스타그램을 인수한 것도 그런 경우다. 현재 메타는 매출의 40%를 인스타그램에서 올리고 있다.
국내 벤처기업 M&A는 대부분 팔리는 사례다. 신성장 동력을 찾는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2022년 축산물 유통 스타트업이 유명 식품 기업의 유통 업체를 역으로 인수하는 일이 있었지만, 사실상 실패했다. 해당 스타트업은 자본 위기를 겪으며 인수 업체 지분을 시장에 내놨다.
상황이 이렇지만 “국내 벤처기업에 M&A는 필요하고, 또 잘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곳이 있다. 바로 컴퍼니케이파트너스(이하 컴퍼니케이)다. 벤처캐피털(VC)로 출발한 이 회사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등에서 M&A 전담 인력을 영입하고, 아예 M&A 전문 프라이빗에쿼티(PE) 본부까지 신설했다.
“M&A를 하려는 벤처기업이 없는 게 아니라, 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다. 이제는 우리도 해야 할 때”라는 변준영 컴퍼니케이 벤처투자본부 부사장을 최근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서 만났다. PEF 운용사 출신 박준규 상무와 박준범 차장 등 PE 본부 소속 두 명이 함께 자리했다.
벤처투자본부와 PE 본부 간 시너지를 이끄는 변준영 컴퍼니케이 부사장은 VC 심사역으로 더 유명하다. 1984년생으로 카이스트에서 학·석사 학위를 받은 변 부사장은 2013년 말 컴퍼니케이에 합류해 현재까지 30개 가까운 기업에 투자했다. 리디, 직방, 뤼이드, 원티드랩 등을 발굴하며 2021년 부사장이 됐다.
변 부사장은 “VC 생태계로 진입한 이래 벤처기업가들과 끈끈하게 연을 다졌는데 이들이 하나같이 꺼낸 고충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유사 벤처기업이 있고, 해당 기업을 인수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다는 것이었다”면서 “우리(컴퍼니케이)가 대신 해당 기업을 인수하면 같이 키울 수 있겠다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투자한 기업이 상장하면 VC는 투자금을 회수하고 역할을 끝내지만, 기업은 그럼에도 사업을 지속한다”면서 “상장한 벤처기업이 또 한 번의 성장을 컴퍼니케이 PE 본부와 함께하는 선순환 구조가 목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초기부터 투자해 그 어디보다 그 회사를 잘 아는 것도 우리의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성숙 단계 벤처기업 ‘그로운업’, SI로 연합 M&A 추진
컴퍼니케이는 창업 후 3년 초과 7년 이하 중기 스타트업 단계를 넘어선, 사업과 재무에서 안정성을 갖춘 성숙 단계 벤처기업을 일명 ‘그로운업’으로 명명, 이들과 연합 M&A를 핵심 전략에 올렸다. 그로운업이 점찍은 벤처기업을 직접 검증한 후 컴퍼니케이가 재무적투자자(FI), 그로운업이 전략적투자자(SI)가 되는 식이다.
미국 증시에서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7개 기업이 벤처기업으로 출발한 반면, 국내 증시에선 네이버 1곳밖에 없다는 것도 국내 벤처기업 M&A가 활성화되지 않은 탓이 크다는 게 컴퍼니케이의 분석이다. 시장조사업체 캐피털IQ에 따르면 미국 상위 5개 벤처기업의 M&A는 606건에 달했다. 반면 국내 상위 5개 벤처기업의 M&A 수는 68건에 불과했다.
컴퍼니케이는 2022년 5월 PE 본부 확장을 정했고, 확장 결정 3개월 만에 박준규 상무를 발탁했다. 박 상무는 PEF 운용사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출신으로, PE 본부의 수장 역할을 맡았다. 변 부사장과는 대학 동기다. 이후 변 부사장의 지인이 추천한 KDB산업은행 PE실 출신 박준범 차장도 합류했다.
박 상무는 “컴퍼니케이는 누적 운용 자산(AUM) 1조원의 VC로 설립 후 17년간 스타트업 투자를 지속한 하우스”라면서 “초기 투자에서 이제는 그로운업이 된 피투자 기업과 M&A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M&A는 그로운업의 후속 밸류업을 계속 도울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컴퍼니케이가 회수 후에도 창업자와 네트워크를 잘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컴퍼니케이는 투자 진행 전 심의에서 심사역과 창업자의 유대 정도를 살필 정도로 관계를 중시한다. 초기 벤처기업을 발굴한 심사역에게 반드시 하는 질문 중 하나가 “대표와 저녁 식사 자리 얼마나 가졌어?”일 정도다.
박 상무는 “PEF 운용사에서 벤처기업 투자를 진행하며 벤처기업 대표들을 만난 적이 있지만, 컴퍼니케이에선 완전히 다른 경험을 하고 있다”면서 “벤처기업 대표들이 사무실을 직접, 그것도 자주 찾아 사업 방향을 논의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벤처기업 대표가 사무실을 찾아와 M&A하고 싶은 기업들을 먼저 말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한국의 워버그핀커스’ 목표
컴퍼니케이 PE 본부의 목표는 한국의 워버그핀커스가 되는 것이다. 미국의 PEF 운용사 워버그핀커스는 VC로 출발해 글로벌 유명 PEF 운용사로 자리 잡았다. 대기업 중심 SI와 함께하는 전통 산업 기업 바이아웃을 주로 진행하다가 이제는 벤처기업을 SI로 참여시키는 신산업 기업 M&A를 주도하고 있다.
박준범 차장은 “최근 많은 VC가 고금리로 인한 투자시장 위축에 발맞춰 중소·중견기업 M&A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지만, 이들 VC와 컴퍼니케이는 M&A 목적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면서 “기업을 사들인 뒤 되팔아 차익을 얻는 것을 넘어 피투자 기업을 SI로 유치해 함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컴퍼니케이는 구체적으로 리디, 직방, 원티드랩, 캐치테이블, 바로팜 등 그로운업으로 성장한 13개 기업과 M&A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투자 기업인 직방은 2022년 7월 삼성SDS의 홈 사물인터넷(IoT) 사업부를 966억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그 외 현재 추진 중인 사안은 아직 진행 중이어서 외부에 밝힐 수는 없다고 했다.
박 차장은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그로운업으로 성장했다고 해도 이들의 근간은 벤처기업이다. M&A 인력도 갖추지 못한 게 현실이라 M&A가 되레 기업 전반의 위기로 이어지기도 한다”면서 “PE 본부를 둔 VC로서 M&A를 원하는 기업에 사업 실사(CDD), 재무 실사(FDD), 법무 실사(LDD) 등 실무적 지원도 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컴퍼니케이는 현재 약 다섯 개 기업을 인수 검토 대상에 올렸다. 이 중 두 개 기업은 인수 논의가 상당히 진척된 상태로, 온라인몰을 운영하는 플랫폼 그로운업으로 인수 기업 제품을 직접 공급하는 식의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인수 검토 대상 다섯 개 기업 모두 컴퍼니케이가 투자한 그로운업이 추천했거나 검토를 요청한 곳이다.
변 부사장은 이어 “인수 기업 디지털 광고도 (컴퍼니케이가) 투자한 그로운업이 직접 역할을 맡는 방식을 추진 단계에서 검토하고 있다”면서 “그로운업을 SI로 삼아 M&A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