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최대 배터리 업체 CATL, 디디추징과 ‘배터리 교체’ 합작 벤처 설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인 디디추싱과 전기차 배터리 교체 기술에 초점을 맞춘 합작 투자회사를 설립한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CATL은 전날 중국 소셜미디어(SNS) 위챗 계정에 올린 성명에서 "디디추싱과 배터리 교환소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 교체 기술을 촉진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각사의 강점을 활용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인 디디추싱과 전기차 배터리 교체 기술에 초점을 맞춘 합작 투자회사를 설립한다. 두 회사는 이를 통해 중국 내에서 배터리 교환소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중국 당국의 지원에 힘입어 전기차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소보다 배터리 교환소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 환경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CATL은 전날 중국 소셜미디어(SNS) 위챗 계정에 올린 성명에서 “디디추싱과 배터리 교환소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 교체 기술을 촉진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각사의 강점을 활용하려 한다”고 말했다.
CATL은 이어 “새로운 벤처는 공공 전기차 충전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운송 분야를 더욱 친환경적으로 만들 것”이라며 “디디추싱의 전기차 부대를 지원함으로써 회사의 기술적, 운영적 이점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작투자는 지난해 12월 말,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배터리 교체 기술에 대한 지원을 재차 강조한 데 이어서 나온 조치로, 대중교통 분야에 전기차를 도입하기로 한 정부 정책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공업정보화부는 지난해 11월, 베이징 등 15개 시범도시의 모든 공공부문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한다고 발표했다. 올해부터 이들 시범 도시는 관용차와 시내버스, 택시, 환경미화차, 우편·택배차 등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한다. 이에 이들 지역에는 전기차 60만대가 보급되고, 70만대의 충전기와 7800개의 탈착식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전 세계 대부분이 전기차에 탑재된 고정식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배터리 교환소에서 미리 충전된 다른 배터리로 바꾸는 방식을 국가 차원에서 추진 중이다. 실제로 중국 내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는 지난해 1월 기준 2000개에 불과했으나, 12월 들어 3567개로 80% 이상 늘었다. 반면, 중국 전역의 전기차 충전소는 지난해 12월 기준 270만개로 1월(180만개)보다 50% 증가하는 데 그쳤다.
SCMP는 “배터리 교체를 지지하는 이들은 약 483㎞를 달리기 위한 배터리 충전 시간이 평균 20분으로, 충전소에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비자에 급 높인 주한대사, 정상회담까지… 한국에 공들이는 中, 속내는
- 역대급 모금에도 수백억 원 빚… 선거 후폭풍 직면한 해리스
- 금투세 폐지시킨 개미들... “이번엔 민주당 지지해야겠다”는 이유는
- ‘머스크 시대’ 올 것 알았나… 스페이스X에 4000억 베팅한 박현주 선구안
- [단독] 김가네 김용만 회장 성범죄·횡령 혐의, 그의 아내가 고발했다
- 4만전자 코 앞인데... “지금이라도 트럼프 리스크 있는 종목 피하라”
- 국산 배터리 심은 벤츠 전기차, 아파트 주차장서 불에 타
- [단독] 신세계, 95年 역사 본점 손본다... 식당가 대대적 리뉴얼
- [그린벨트 해제後]② 베드타운 넘어 자족기능 갖출 수 있을까... 기업유치·교통 등 난제 수두룩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