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80% 할인해준다고?”…아웃렛보다 싸다는 ‘이곳’ 어디길래

박창영 기자(hanyeahwest@mk.co.kr) 2024. 1. 29. 16: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명 브랜드 직매입한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
‘통큰할인’으로 눈도장
신세계 3년새 매출 2배
현대도 매장 늘려 추격
경기 남양주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 위치한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 ‘오프웍스’에서 고객들이 쇼핑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백화점]
고물가에 아울렛 가격에도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로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오프 프라이스는 유명 브랜드 재고 상품을 유통업체가 직접 매입하며 아울렛보다도 저렴하게 판매하는 업태를 의미한다. 아울렛이 최대 50% 가량 할인하는 반면, 오프 프라이스는 최대 80% 가량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등 국내외 유통 강자가 격돌하면서 이 시장이 급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오는 3월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에 오프웍스 5호점을 개점할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은 2019년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에 오프웍스 1호점을 오픈한 이래 매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판매량 또한 지속 증가세를 기록하며, 지난해 매출이 2020년 대비 2.5배에 이른다. 현대백화점은 전국에 운영 중인 8개의 아울렛을 중심으로 매장 수를 늘려갈 예정이다.

자료: 각 사
오프 프라이스는 유명 브랜드 재고 상품을 유통업체가 직접 매입하는 방식으로 할인율을 높인다. 기존 아울렛 제품이 최초 판매가 대비 30~50%의 할인율을 제공할 때, 오프 프라이스는 40~80% 수준의 할인 혜택을 준다. 신상품 또한 오프 프라이스에서 구매하는 편이 15~25% 저렴하다. 운영 브랜드는 100여개로 여기엔 신(新)명품이라 불리는 프랑스 브랜드 ‘아미’, ‘메종 키츠네’를 비롯해 에르노·막스마라·겐조 등이 포함된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오프웍스는 매장 전체 구매 고객 가운데 신규 고객 비중이 30~40%를 차지한다”며 “아울렛 점포에서 고객을 끌어모으는 ‘앵커 테넌트’(핵심 점포) 역할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신세계, 스타필드 수원에 16호점 열어
경쟁사인 신세계백화점 또한 오프 프라이스 매장을 늘려가고 있다. 최근 개장한 스타필드 수원에 오프 프라이스 매장인 ‘팩토리 스토어’ 16호점을 입점시켰다. 스타필드 수원 5층에 846㎡(약250평) 규모로 들어선 팩토리스토어는 국내외 160여개 패션·라이프스타일 브랜드를 취급한다. 20·30대가 선호하는 스투시, 칼하트, 챔피온 등 스트리트 캐주얼을 비롯해 톰브라운, 무스너클, A.P.C., 아미 등 해외 패션 브랜드를 판매한다. 최대할인율은 최초 판매가 대비 80%에 달한다.
스타필드수원에 들어선 신세계 팩토리 스토어 16호점. [사진 제공=신세계]
신세계백화점은 현대백화점에 비해 2년 일찍 오프 프라이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2017년 스타필드 고양에 1호점을 연 이래 전국 신세계백화점과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스타필드 등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매출은 2020년 400억원에서 지난해 800억원으로 2배 불었다. 신세계 관계자는 “해외 유명 브랜드가 한곳에 모여있는 편집숍 형태를 띠고 있어 젊은 고객 사이 ‘득템 명소’로 유명하다”며 “넓은 매장에서 고객이 직접 가격을 확인하고 입어보며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는 점이 편하다”고 전했다.
다양한 브랜드 모아둔 편집숍 형태 ‘시성비’ 중시하는 고객에게 어필
미국 대표 오프 프라이스 매장 TJ맥스.
유통 강자들이 오프 프라이스에 힘을 주는 이유는 업계 성장 속도가 둔화한 것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국내 5대 백화점 70개 점포 매출은 전년 대비 1.7% 소폭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3대 유통사의 아울렛 점포 매출은 3.8%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동 기간 신세계 팩토리 스토어 매출은 14% 이상 신장하는 등 오프 프라이스는 규모를 불리고 있다. 가격이 저렴한 데다가 한 매장에 다양한 브랜드를 갖춰 쇼핑 시간을 아껴준다는 점 등이 고객에게 어필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물가에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가 주목받는 건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다. 미국 대표 오프 프라이스 매장인 TJ맥스는 2022년 11월 초부터 2023년 10월 말까지 1년 간의 매출이 69조원으로 전년 대비 6.2% 성장했다. 뉴욕 증시에 상장된 이 회사 시가총액은 지난 26일 장 마감 기준 146조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시장조사업체 코히어런트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 시장은 2023년 422조원에서 2030년 747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